10여 개의 기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임원 추천 절차를 밟으면서 각종 잡음이 불거진 데다 경기도의회와의 마찰에 따른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 민선 7기 당시 대폭 완화했던 인사 규정을 정비해 전문성을 확보하기로 하는 등 공정 인사의 고삐를 조이기로 했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각 주무부서와 도 산하 공공기관 등에 공문을 보내 임원 선임 관련 규정을 정비하는 등 만전을 기해달라고 전했다.
도는 "도 공공기관 임원 선임 방향은 객관적이며 공정하게, 해당 분야 전문가 선임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임원 선임 추천 과정에서 공정성·객관성·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준수사항 등을 지켜달라고 요청했다.
구체적으로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 구성을 위한 이사회 심의·의결에 참여 임원 공모 불가 ▶심사 시 위원별 최고·최저점수 각 1개를 제외하고 산술평균한 점수로 결정 ▶임추위 비밀누설 금지 ▶이해당사자 임추위원 제척·기피·회피 ▶임추위 명단·선임절차·과정 비공개 관리 ▶결격사유 및 범죄사실경력 조회 등 신원조회 철저 등이다.
도는 또한 각 부서와 기관들에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엄격하게 적용할 것을 주문했다.
도는 특히 전문가 유치를 위해 각 기관 정관 및 인사 규정 등에 포괄적인 요건 외에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 요건을 마련하라고도 덧붙였다.
도의 이같은 조치는 기관장 인선 과정에서 터져나오는 각종 이슈 때문으로 해석된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경우 임추위를 거쳐 지난 달 2명의 사장 후보자를 추천했다. 그러나 도는 ‘적격자 없음’을 이유로 반려, 이날(13일) 재공모에 나섰다.
일각에선 ‘인사 정상화’의 과정으로도 보고 있다. 앞서 민선 7기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 각 기관의 규정을 대폭 손질, 기관장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비 전문가가 임명되는 등 논란이 이어진 바 있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김동연 지사가 전문가로 선임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힌 만큼, 인사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거 같다"며 "아무래도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기관장이 공석인 도 산하기관은 GH를 포함해 경기관광공사·경기평택항만공사·경기교통공사·경기연구원·경기아트센터·경기복지재단·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경기도사회서비스원·경기도일자리재단·경기문화재단·킨텍스·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기관장 내정) 등 13곳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