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외모에 민감한 청소년들에게 비뚤어진 치아는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는 대인 관계에서 자신감을 잃게 하여 소극적인 성격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성장기의 아이들에게는 부정교합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증상이 발견되면 조기에 교합을 맞추는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아교정은 턱과 안면 골격이 다 자라지 않은 어린이나 청소년 시기에 가장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부정교합으로 인해 치아교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실제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망설이는 사람들이 많다. 그 중에서도 특히 교정장치가 눈에 띄는 것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다행히 최근에는 인비절라인, 세라핀 등 심미성을 고려한 투명 교정장치들이 등장하면서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투명교정은 치아교정 시 발생하는 심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겉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눈에 잘 띄지 않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교정 효과가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었으나, 최근 기술 발전 덕분에 교정 효과가 크게 개선되었다.
특히 성인이 된 이후에도 투명교정을 선택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중 착용해도 겉에서 잘 보이지 않아 주변 사람들의 이목을 피할 수 있는 세라핀 투명교정장치는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교정 과정과 치료 후 변화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환자 만족도가 높다. 또한 국내에서 제작되므로 도중 변수 발생 시 빠르게 대응 가능하며 비용 부담도 적다. 이외에도 세라핀 투명교정은 장치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음식 섭취나 양치질 시 편리하다.
다만 모든 부정교합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사전 검진을 통해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맞춤형 장치를 제작해야 한다.
한서영 노원 강북예치과 원장은 "세라핀 같은 장치는 단계별로 바꾸면서 교정을 진행하는 과정으로 환자의 협조가 중요하다”며 “병원 방문 횟수를 줄이면서도 정상적인 교정을 위해서라도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착용 시간을 준수하고 위생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