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오퍼레이터'와 '딥리서치' 결합...챗GPT웹사이트에서 agent 입력해 사용

17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픈AI가 이번에 공개한 ‘챗GPT 에이전트’는 앞서 선보인 ‘오퍼레이터’와 ‘딥리서치’를 통합한 제품이다. 단순 검색을 넘어 문서 작성, 프레젠테이션 제작, 식당 예약 등 다양한 실생활 업무를 하나의 에이전트가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퍼레이터’는 사용자 대신 여행 예약, 음식 주문 등 실행 중심의 업무를 수행하며, ‘딥리서치’는 여러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수집해 전문적인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갖췄다.
챗GPT 에이전트는 두 기능의 장점을 결합해, 웹 페이지 탐색, 클릭, 스크롤, 텍스트 입력 등 시각적 인터페이스 조작은 물론, 코드 실행, 파일 생성, 분석, API 호출, 캘린더 연동까지 가능하다.
오픈AI 측은 “‘챗GPT 에이전트’는 웹에서 다수의 페이지를 빠르게 읽고 조사할 수 있으며, 실제 웹사이트 인터페이스를 직접 조작해 업무를 수행한다”며 “사용자 일정에 맞춰 식당 예약도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챗GPT 에이전트’는 챗GPT 웹사이트에서 ‘에이전트 모드’를 선택하거나 ‘agent’라고 입력해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챗GPT 프로, 플러스, 팀 구독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유럽경제지역(EEA)과 스위스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이용 가능하다.
오픈AI는 이번 에이전트가 금융 거래, 법률 자문 등 위험도가 높은 작업은 제한하고, 민감한 업무 전에는 반드시 사용자 동의를 요청하는 등 기존 모델 중 가장 강력한 안전장치를 갖췄다고 밝혔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