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뉴타운, 서울 옆 2만 8천여 가구로 조성
힐스테이트 광명11, 7호선 광명사거리역 초역세권·철산역 도보 이용 가능
CLUB HILLS(피트니스·수영장·사우나·골프연습장 등) 대규모 커뮤니티 조성
현대건설은 12일 광명11R주택재개발 사업을 통해 오는 10월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을 분양한다고 밝혔다.
광명뉴타운은 신도시급 규모에 서울과 접한 입지에 들어서 수도권의 핵심 거주지역으로 거듭났고, 이곳에서도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은 7호선 초역세권 입지에 뉴타운 내에서 가장 큰 규모로 공급되는 만큼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전망이다.
현대건설이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은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철산동 일대 광명11R주택재개발사업(이하 광명11구역)으로 들어서며, 지하 5층~지상 최고 42층, 25개동, 총 4,291가구의 매머드급 대단지다. 이 중 652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전용면적별 일반분양 가구수는 ▲39㎡ 31가구 ▲51㎡ 103가구 ▲59㎡ 494가구 ▲74㎡ 22가구 ▲84㎡ 2가구다.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이 들어서는 광명뉴타운은 12개 구역 중 9개 구역이 분양을 마쳤고, 모두 입주를 마치면 2만 8천여 가구의 신도시급 규모로 조성된다. 지리적으로 구로구, 금천구와 접하고 있어 서울의 인프라를 가장 가깝게 누릴 수 있는 최적의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11구역은 광명뉴타운에서도 최대 규모, 최고 층수로 입지도 가장 우수해 상징성이 가장 높은 단지로 꼽힌다.
우선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과 인접한 초역세권 단지며, 철산역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어 가산, 구로, 여의도, 강남 등 서울 핵심 업무지구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7호선 이용시 가산디지털단지역(4분), 강남 고속터미널역(31분)까지 환승 없이 도달 가능하다.
다른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 연계성도 우수하다. 가산디지털단지역(1호선), 대림역(2호선), 보라매역(신림선) 등에서 주요 노선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다. 향후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예정) 환승이 가능해지면 서울과 수도권 곳곳으로 접근성은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또한 안양천로, 서부간선도로, 남부순환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을 이용해 수도권 주요 거점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힐스테이트’ 브랜드 파워도 돋보인다. 힐스테이트는 한국표준협회 2023~2025 3년 연속 프리미엄 브랜드지수(KS-PBI) 공동주택 및 스마트홈서비스 부문 1위, 부동산R114 2023~2024 2년 연속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 1위, 브랜드스탁 2022~2025 4년 연속 대한민국 브랜드스타 공동주택 부문 1위 등 다수의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발표한 아파트 브랜드 평판 조사에서는 2019년 4월부터 2025년 8월까지 77개월 연속 아파트 브랜드 평판 지수 1위를 기록하며 업계 대표 브랜드로서 가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는 이러한 힐스테이트 브랜드에 걸맞은 상품 차별화는 물론 4,291가구가 넘는 단일 브랜드 대단지에 걸맞은 상품성 역시 돋보인다.
전 세대 남향위주 단지 배치에 전용면적 51㎡는 소형 타입임에도 3베이 맞통풍 구조로 나오며, 복도식 구조가 아닌 계단식 구조로 공급한다. 전용면적 59㎡ 타입도 타입에 따라 3~4베이 구조로 선보이며 차별화에 나선다.
또한 입주민들은 단지 생활을 편리하게 누릴 수 있는 힐스테이트 입주민 전용 통합 플랫폼 ‘마이 힐스(my HILLS)’를 이용할 수 있다. 마이 힐스는 힐스테이트만의 특화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서, 2024년 12월 런칭 후 힐스테이트 입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스마트폰 앱 하나로 계약정보 확인, 입주자 사전방문 예약, 입주 예약 등의 입주 전 서비스부터 입주 후 A/S신청, Hi-oT(가전제어), 방문차량 등록, 관리비 조회, 공지사항 열람 등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투표·설문조사·단지 내 중고거래, 단지모임 등 입주민 간 소통과 참여를 유도하는 기능이 마련돼 단지 내 공동체 문화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현대건설의 층간소음 저감기술 ‘H 사일런트 홈 시스템 Ⅰ’도 적용된다. 슬래브 두께 상향과 고성능 복합 완충재 적용으로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소음 저감과 충격 흡수를 극대화한 바닥구조시스템이다.
대단지에 걸맞은 대규모 커뮤니티도 들어선다. 수영장, 사우나, 피트니스센터, 골프연습장, GX룸, 게스트하우스, 독서실, 작은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을 통해 입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분양가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추세인 만큼 수요도 몰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1년 전보다 4.8% 상승하며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신축 공급 가뭄에 다른 ‘탈 서울’ 수요의 유입도 기대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은 내년 2만8,000여 가구, 2027년 1만2,000여 가구, 2028년 8,000여 가구 등으로 입주량 감소할 전망이다.
분양 관계자는 “많은 수요자들이 기다려온 광명뉴타운의 최고 입지에 들어서고, 광명뉴타운의 완성 단계를 알리는 만큼 광명은 물론 서울 등 수도권 곳곳에서 실수요, 투자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라며 “입주민의 삶의 레벨을 높일 상품성을 모두 담은 만큼 지역의 시세를 이끄는 대장주 아파트이자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단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종균 기자 jklee.jay526@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