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수익률 7.57%…안정적 이자수익 확보
금리 하락 시 추가 자본수익도 기대

글로벌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변동장세에도 안정적 성과를 낼 수 있는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다. 이에 지난 3개월간 약 200억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만기 3~10년 수준의 미국 국채(30%)와 관련 ETF(70%)에 주로 투자하는 국내 운용업계 유일의 중단기 국채 펀드다. 크레딧 채권 등의 위험자산을 편입하지 않고 평균 신용등급 ‘AA+’ 수준의 순수 미국 국채에 투자해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추구한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UH)’의 3개월 수익률은 7.57%로, 단기 금리 변동 구간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10/24 기준)
중기채는 장기채 대비 금리 민감도와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금리 인하 국면에서는 추가 자본 수익도 노릴 수 있다. 실제 미국 중단기 국채는 과거 금리 인하 시기에 장기채보다 낮은 변동성을 바탕으로 양호한 성과를 나타낸 바 있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금리 수준이 높은 미국 달러 발행 채권에 투자해 다른 선진국 통화 채권 대비 높은 이자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주식과의 상관관계가 낮은 만큼 경기 침체 시 증시 조정에 따른 투자자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연치상 KB자산운용 해외채권운용실장은 “미국 정부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으나 시장 우려와 달리 관세에 따른 물가 상방 압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흐름을 감안할 때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와 내년 상반기 추가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 실장은 “현재 듀레이션이 약 6.0년 수준인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금리 인하 시기에도 변동성을 낮추면서 효율적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환헤지형(H)과 환노출형(UH) 2종으로 나뉘며 KB국민은행, 광주은행, KB증권 등에서 가입할 수 있다. 판매사는 추후 확대 예정이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