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ad

HOME  >  금융·증권

삼성자산운용, ‘KODEX AI전력핵심설비’ 순자산 1조원 돌파

신용승 기자

입력 2025-11-19 10:27

상장 1년 4개월만 순자산 1조 클럽 가입…올해 개인 4028억원 유입
연초 이후 수익률 162.1% 기록, 국내 상장된 ETF 중 수익률 3위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비욘드포스트 신용승 기자]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그 근간이 되는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주가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글로벌 전력망 구축 사이클의 초입에서 국내 전력 인프라 기업 주가의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AI전력핵심설비’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1조원을 돌파해 1조 96억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7월 상장 이후 약 1년 4개월 만의 성과로, AI대중화로 인한 전력 인프라 확대라는 거대한 산업 트렌드를 선점해 투자자들의 꾸준한 신뢰를 얻은 결과로 풀이된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은 특히 개인 투자자들이 주도했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는 연초 이후 누적 개인순매수는 4028억원에 이른다. 특히 최근 주가 상승세가 가팔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개월 동안에만 2579억원이 유입됐다. 이는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성장성에 대한 개인들의 신뢰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은행,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들도 꾸준한 매수세를 보이며 AI 전력 인프라 테마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입증하고 있다.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힘입어 압도적인 수익률을 실현했다. 연초 이후 162.1% 수익률을 달성하며, 국내 상장된 ETF 가운데 수익률 3위(레버리지 제외)을 기록했다. 최근 1개월 25.9%, 3개월 52.9%, 6개월 107.7%로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의 이러한 높은 성과는 핵심 종목에 집중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에서 비롯된다. 국내 전력설비 산업을 이끄는 ‘BIG 3’ 기업인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을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69%라는 높은 비중으로 집중 투자한다. 이 외에도 LS, 대한전선, 산일전기, 일진전기 등 국내 전력 시장의 핵심 기업만을 선별해 총 11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압축했다. 이는 관련 테마에 분산 투자하는 대신 AI 전력 인프라 확대의 수혜를 가장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 전력 인프라 산업은 AI 데이터센터의 폭발적인 증가라는 확실한 수요에서 비롯된 장기 구조적 성장 테마다. 전 세계가 AI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적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면서 전력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낡은 전력망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다. 여기에 미국 등 선진국의 노후화된 전력망 교체 주기,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환 트렌드까지 맞물리며 변압기, 케이블 등 핵심 설비의 ‘공급자 우위’ 시장이 최소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글로벌 ‘전력 부족’ 현상은 뛰어난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갖춘 국내 전력 인프라 기업들에게 전례 없는 기회가 되고 있다. 실제로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 ELECTRIC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은 북미와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역대급 수주 랠리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미 향후 몇 년 치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미국 등 해외에서 AI데이터센터로 인한 전력설비 신규 수요와 노후화된 교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단가 인상과 역대급 수주가 이어지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에너지고속도로 프로젝트 수혜까지 더해지며 AI전력인프라 기업들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AI 전력 인프라 테마를 주도하고 있는 삼성자산운용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전력 인프라에 투자하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도 순자산 1조 3800억원 이상 ETF로 키워내며 AI전력 테마를 주도하고 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