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통 포화로 발전한 전기 활용 못하는 현실 지적
전문가들, ESS·출력상한 설비·계통소득 등 기술·제도 해법 제시

이번 토론회는 주 의원을 비롯해 김원이·조계원·권향엽·문금주·김문수 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기후에너지환경부·전라남도·한국전력공사가 후원하고 재생에너지 업계·기업·시민사회단체·지방의회 관계자들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주철현 의원은 개회사에서 “풍부한 해상풍력 자원을 가진 전남이 전력망 부족으로 생산한 전기를 활용하지 못하는 현실은 매우 안타깝다”며 “이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지역 소멸 방지와 소득 증진, 나아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재생에너지 허브 전남’ 실현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토론에서는 한국전력공사 이경윤 처장이 마이크로그리드 및 ADMS 도입, ESS를 활용한 수용성 확대 방안을 제시했으며, 동신대 이순형 교수는 송전선 공동 이용을 통해 접속용량을 대폭 늘릴 수 있는 ‘출력상한 공동접속 설비’ 도입을 주장했다.
루트에너지 윤태환 대표는 주민들이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햇빛·바람·계통 소득’ 모델을 소개하며, 관련 법령 개정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전라남도·한국전력·업계가 참여한 종합토론에서는 전남을 ‘에너지·디지털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한 종합 전략과 계통 확충 로드맵,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법제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주 의원은 “이번 토론회가 전남 전력망 문제 해결의 물꼬가 되길 바란다”며 “재생에너지 1번지 전남을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에너지 허브로 만들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