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7일 울산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 위해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 전 분야를 아우르는 내용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은 정부가 지난해 8월 수소경제를 AI(인공지능)·빅데이터와 함께 3대 전략 투자 분야로 선정한 이후 3개월 넘게 전문가 100여명의 의견수렴과 연구·분석 등을 통해 마련한 것이다.
로드맵의 핵심은 수소 모빌리티(mobility)다. 2018년 1800여대에 불과한 수소승용차 생산량을 2022년 8만1000여대(내수 6만5000여대), 2040년 620만여대(290만여대)까지 늘린다. 대중교통도 수소화한다. 수소버스는 2040년까지 4만여대, 수소택시는 8만여대, 트럭은 3만여대 보급한다.
문제는 대당 7000만원에 달하는 높은 생산비용이다.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고 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를 확충한다면 대당 가격을 현재의 절반 수준인 3000만원대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출과 내수는 각각 330만대, 290만대를 목표로 잡았다. 중국은 2030년 수소차 100만대, 일본은 80만대, 독일은 180만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로 세계 각국의 수소차 시장 선점경쟁이 뜨겁다.

수소 생산은 그린수소 확대로 공급량 526만톤/연, 가격 3000원/kg 달성키로 했다. 해외생산·수입 등 그린수소 확대와 연계해 수소 생산량을 2018년 13만톤에서 2040년 526만톤으로 확대하고, 대량 안정적 공급으로 수소 가격을 3000원/kg 이하로 하락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을 2040년까지 15GW(내수 8GW)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2022년까지 국내 1GW 보급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2025년에는 중소형 LNG 발전과 대등한 수준까지 경제성을 높인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차질 없이 이행될 경우 오는 2040년에는 수소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우리나라는 수소차, 연료전지 등 분야에서의 세계적 기술력, 세계 최고 수준의 석유화학 기반, 부생수소 생산 능력과 활용 경험, 전국에 완비된 천연가스 공급력 등 강점을 가지고 있다”며 “현재 로드맵의 목표나 개발 양산계획이 전혀 무리한 계획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박정배 기자 pjb@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