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세지 전송은 물론 대용량 파일 전송, 그룹 채팅까지 가능

통신 3사 고객끼리 채팅플러스를 통해 문자메시지 전송은 물론 휴대폰에 기본 탑재된 문자메시지 앱에서 읽음확인, 대용량 파일전송, 그룹대화 등을 할 수 있다.
채팅플러스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2012년 채택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표준인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가 적용됐다.
KT(2018년 12월 28일)·SK텔레콤(2019년 1월 15일)·LG유플러스(2019년 3월 4일)는 최근 연이어 채팅플러스를 선보였지만 같은 통신사 가입자끼리만 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로 앙숙 관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통사들이 간만에 힘을 모아 통신 3사 가입자 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제조사 삼성전자와 업그레이드 작업을 했다.
채팅+ 기능은 시중에 판매되는 23종가량의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적용돼 있다. LG전자도 올해 안에 통신3사 간 연동이 가능한 RCS 기능 탑재 단말을 출시할 예정이다.
통신사들이 카카오톡에 반경에 성공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과거 문자메시지 서비스 시장은 통신사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다 2010년 3월 카카오톡 출시되면서 빠른 속도로 메시지 시장의 패권이 통신사에서 IT 기업인 카카오로 넘어갔다. 이에 대항해 통신 3사는 2012년 말 RCS 서비스 '조인'(Joyn)을 연동해 출시했지만 이미 대세로 자리잡은 카카오톡의 벽을 넘지 못했다.
절치부심함 만큼 통신사들은 채팅+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통신3사는 오는 12월 31일까지 무료로 채팅+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며 갤럭시노트10에서는 연말까지 채팅+로 공유된 유튜브 링크는 데이터 차감 없이 시청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