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전 분기인 2019년 4분기에 비해 매출은 7.8%늘었고, 영업이익도 584억원 늘어나며 흑자전환했다. 전년동기 대비로 매출은 13.6%증가, 영업이익은 34.8% 감소했다.
별도 기준으로 이마트는 영업이익 854억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601억원의 실적 개선을 이뤘고, 전년 동기대비로도 20% 감소에 그쳤다.
이마트는 이번 실적에 대해 코로나로 인해 점포들이 잦은 휴업을 해야했던 2, 3월 상황을 고려하면 의미있는 성과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같은 성과를 낸 것은 그로서리 매장 강화를 통한 본업 경쟁력 확대, 트레이더스의 지속 성장, 전문점 사업 수익성 확보 등에 주력한 결과라고 풀이했다.
특히, 트레이더스는 코로나19로 인해 집밥 문화가 활성화되면서 전년 대비 매출이 21.8%, 영업이익은 22.4% 증가하는 등 호실적을 이어갔으며, 하반기 안성점이 오픈하면 추가 성장이 기대된다.
노브랜드 전문점 역시 2015년 사업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올해 1분기 25억원 흑자를 거둔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마트 연결 자회사들의 성장세도 눈에 띄었다.
SSG닷컴은 적자폭 축소, 매출 증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1분기 총 매출은 917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0%이상 증가했고, 영업적자도 197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이후 처음으로 100억원대로 진입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식료품 배송량 증가, 온라인스토어 네오003 통한 물량 확대, 베이킹센터 ‘트레 또’ 등이 SSG닷컴의 성장을 견인했다.
이마트에브리데이, 신세계TV쇼핑도 코로나19 반사이익 효과로 매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매출 3385억원, 영업이익 11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매출은 13.8%, 영업이익은 5배 이상 증가했고, 신세계TV쇼핑도 매출 486억원, 영업이익 28억원을 달성, 전 분기에 이어 흑자를 이어갔다. 이마트24도 적자폭이 전년 대비 13억원 감소하며 지속적으로실적이 개선되고 있다.
이마트는“앞으로도 그로서리 경쟁력 강화 등 수익 중심 사업 구축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갈 것” 이라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