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연료비 1,406만원

2016년 9월부터 2020년 5월까지 45개월 동안 약 14만 3천km를 주행하면서 연료비로 14,063,214원, 16,788ℓ를 충전했다. 현대자동차 제원표 표시연비는 LPG 7.6km/h이지만 김씨가 실제로 주행한 연비는 1리터당 8.6km로 약 13% 이상 높게 주행했다. 그에게 표시연비 지키는 것도 어려운데 나름 고연비 비결을 물었다. 혹시 여름에는 에어컨 OFF, 남이야 밀리든 말든 경제속도만 고집하는 꼰대 운전은 아닌지 궁금했다. 그에게는 자린고비 운전법은 없었다. 에어컨도 시원하게 속도감도 즐기면서 원칙 있는 고연비 비결 네 가지는 간단명료했다.
첫째, 신차 출고 때 동일성 유지, 제작사 부품 사용
그는 신차 출고 당시의 메커니즘과 제작자의 의도를 알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적의 상태로 출고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상식으로 임의로 개조나 일반부품을 적용하기보다는 제작자의 의도와 신차 동일성 유지 차원에서 출고 당시 제작사 부품과 제원을 지켰다는 것이다. 주위에서 장거리 지방 출장으로 광폭 수입 타이어를 권했지만, 그는 권장 치수 타이어와 순정부품을 고집했다고 한다. 그래서 15만km를 주행했지만, 엔진이나 차체가 거의 신차 상태를 유지했다.
둘째, 봄은 연비가 좋다. 여름보다 겨울에 차량 체온 관리
연비가 계절별로 차이가 있었다. 봄에는 8.98km/h, 가을 8.62km/h 여름 이 8.62km/h 겨울이 가장 낮은 8.48 km/h였다.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 관계로 엔진의 자기 청정온도를 지키기 위해 연료 소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될 수 있는 대로 옥내나 지하주차장을 이용했다고 했다.
셋째, 연비 부품을 적기 교환하면 연비를 지킨다.
4년 동안 해를 거듭할수록 연비는 조금씩 낮아진다. 차량의 문제가 아니라 원인은 연비 관련 주요 소모성 부품의 교환 시기를 놓치거나 정비 소홀이며,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신차 때 적용된 제작사 권장부품으로 교환을 했다. 3년 차에 가장 낮아진 연비는 정비하면 새 차 수준으로 돌아온다는 것이 그의 기계적 논리이며 지론이다.
넷째, 조급하고 무리한 운전은 결국 연료 낭비.
경제 운전은 안전운전이며 행복 운전이라는 원칙이다. 정체 도로와 높고 낮은 도로 (up and down) 도로가 많은 우리나라 특성상 과속, 급제동, 급가속 같은 조금 운전은 빠른 것이 아니므로 흐름 따라 주행하는 것이 안전, 경제 운전이라고 주장한다.
자동차시민연합 임기상 대표는 “ 실제로 차계부를 작성하면 10% 이상 절약효과는 물론 자동차 무병장수의 지름길”이라며 “기억과 추억에 의해서 즉흥적인 관리를 하는 운전자가 대부분이지만 각종 세금과 보험료, 연료비와 각종 오일의 교환비용에서부터 정비요금과 소모성 부품의 구매비용까지 산출해 보면 경제 운전의 지혜가 저절로 생긴다.”라고 했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