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 직원들이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도권 신도시로 지정된 광명·시흥 지구 내 2만3028㎡의 토지를 구입했다고 밝혀지면서 국민적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일부 토지엔 더 많은 보상금을 받기 위해 투기 세력이 흔히 사용하는 수법으로 보이는 수백 그루의 나무가 빽빽하게 심어져 있어 철저한 수사와 함께 토지 몰수까지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LH는 정부의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규모 역시 상당하지만 대구도시공사도 대구시가 추진하는 택지 및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LH와 유사한 사례가 있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대구도시공사의 이번 자체조사 대상 사업지는 2012년부터 현재까지 토지보상이 이뤄진 수성의료지구를 비롯한 대구국가산업단지, 안심뉴타운, 금호워터폴리스, 대구대공원, 식품산업클러스터, 복현주거환경개선지구다.
대구도시공사는 해당 개발부지에 대한 임·직원 및 직계가족과 배우자의 토지거래 및 보상 여부를 확인하며 내부정보를 활용한 부당 투기 등 위법사항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대구도시공사 이종덕 사장은 “LH 직원 투기 논란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지역에서 이뤄진 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위법 사례가 있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 선제적으로 조사를 실시하게 됐다”고 밝혔다.
대구도시공사는 이번 전수조사 과정에서 공사 직원들의 투기 등 위법사항이 발견될 경우 징계뿐만 아니라 수사 의뢰 등의 고강도의 조치를 취하고 앞으로 발생 가능한 투기 의혹 또한 사전에 차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