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미한 이상반응 3일안에 회복…지속되면 병원 방문
"AZ, 2차 접종시 부작용 빈도 및 강도 현저히 낮아져"

덜컥 겁이 난 홍씨는 병원에서 알려준 약물안전센터에 연락했다. 24시간 상주 중인 의사는 "백신에 의한 면역 형성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라고 그를 안심시켰다. 이어 "개인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2~3일 내로 호전되니 우선 타이레놀을 복용하고 경과를 지켜보라"고 조언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직후에는 현장에서 15~30분 간 더 머무르며 이상반응을 체크한다. 대부분 특별한 이상반응이 없어 안심하고 돌아서지만 홍씨처럼 부작용은 수 시간 후에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접종 후에는 타이레놀 등 해열제를 구입해 귀가하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서울대병원 약물안전센터 강동윤 교수는 10일 "이번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흔히 예상되는 부작용은 오한, 발열, 접종 부위 통증이다.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도 48~72시간 후 회복된다"며 "증상 조절을 위해 해열제 복용을 권장한다. 그럼에도 체온이 39도 이상 지속되면 병원을 방문해 적극적인 치료와 다른 원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사부위 부종이나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이 경우도 2~3일 내로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기저질환자가 백신 접종 후 열이나 해열제를 복용할 경우 다른 만성질환약과 함께 복용해도 괜찮을까. 해열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타이레놀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 만성질환 약과 함께 복용해도 문제가 없다. 백신 접종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강동윤 교수에 따르면 식품, 동물, 환경, 라텍스 등에 대한 알레르기도 백신 접종에 문제가 없다. 다른 종류의 백신이나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도 접종을 받을 수 있으나 먼저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독감이나 대상포진 등 다른 예방접종은 코로나19 예방 접종과 14일 정도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그리고 면역저하와 면역조절제를 사용하는 환자는 약제를 중단하고 예방 접종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이 역시 전문의 상의가 필요하다.
한편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사람들 중 고열, 오한, 근육통 등으로 며칠 간 고생한 일부는 벌써부터 2차 접종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강 교수는 "강제할 수는 없지만 지속적인 면역 효과를 위해서는 2차 접종까지 맞는 것을 추천한다"며 "현재 가장 많은 접종이 이뤄진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다행히 2차 접종에서는 이러한 부작용 빈도와 강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