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망률은 지속적 감소 추세이나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전체의 47% 차지

2021년 3월 대한신장학회지에발표한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 분석 결과 투석 방법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000명/년 기준으로 122.5명에서 45.2명으로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19.3명에서 45.1명으로, 복막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21.6명에서 51.3명으로 감소).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1년 5년 생존율은 혈액투석 69%, 복막투석 52.4%였으나 2013년에는 혈액투석77%, 복막투석 71.5%로 향상되었다.
2019년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은 심혈관 질환 (47.0%) 이었고,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국내 말기신부전 환자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심혈관 질환 중에서는 부정맥, 심장판막질환, 심부전 등의 심질환이나 심정지에 의한 사망 비율이 심근경색, 협심증등 허혈성 심질환의 비율 보다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감염 (22.9%), 암 (5.2%), 간질환 (2.3%) 순이었다.
연구 분석을 주도한 홍유아 (가톨릭의대 대전성모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투석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심혈관계 합병증은 해결해야 할 숙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 밝히고 “투석치료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심혈관 질환위험인자 (당뇨, 고혈압, 고지질혈증등) 뿐 아니라 투석 치료와 관련된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요독증, 혈관 석회와, 대사성산증)를 동반하고 있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일반인에 비해 높으므로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조절하려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SCIE에 등재된 대한신장학회 공식 영문학술지 Kidney Research Clinical Practice에 발표되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