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최근 20~30대 젊은 여성층에서 자궁근종 등의 다양한 여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진 바 없으나 서구화된 식생활과 운동량 감소로 인한 비만인구 증가가 대표적인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 중 자궁근종은 대표적인 여성 질환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성의 몸에서 많이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월경 과다 및 골반통, 생리양 과다 등이며, 자궁근종이 커지면 주변 장기를 누르면서 빈뇨, 하복부 팽만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양성질환이기는 하지만 혹의 크기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자연임신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미리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게 좋다. 자궁근종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크기가 크지 않고 성장 속도가 빠르지 않은 경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지켜보는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져 골반 통증을 일으키거나 아랫배에서 만져지는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자궁근종절제술, 자궁절제술, 자궁근종용해술, 약물 치료 등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의료기술 발전과 함께 나이, 임신 출산 여부에 따라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게 가능해졌다. 그 중 미혼인 여성이나 출산 계획이 있는 경우 개복수술보다 심리적 부담이 적은 ‘복강경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복강경수술은 배꼽 주름 쪽에 0.5cm~1.5cm을 절개해 수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반태학 이천 마리나산부인과 부원장은 “복강경수술은 자궁근종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다”며 “이는 통증이 적고, 흉터가 거의 안 보여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부담을 크게 덜어주며, 회복도 일반적인 개복수술보다 빠르다는 것이 특징이다”고 전했다.
이어 반태학 부원장은 “아울러 자궁근종 제거 이후에도 정기적인 병원 검진 및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자궁근종이 재발하지는 않는지,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는지 등을 확인하며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