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회화건염은 어깨에 연결된 인대에 ‘석회’가 침착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변 조직의 저산소 상태와 국소 압박으로 나이에 따른 퇴행성 변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무리한 스포츠 활동으로 어깨 힘줄이 손상되거나 회전근개 질환 및 어깨 외상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야간에 잠을 이루기 힘들 정도로 날카로운 것으로 찌르는 듯한 어깨 통증이다. 반면에 주간에는 통증이 덜하고, 가끔 아팠다가 괜찮아지는 현상이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석회침착이 있어도 통증 자체가 미비한 환자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면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심할 경우 힘줄이나 근육이 점점 굳어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순억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병원장은 “어깨에 생긴 석회는 대부분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흡수 또는 배출되기 때문에 대개 물리 치료, 약물 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며 "다만, 석회질이 너무 크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통한 석회 제거술과 같은 치료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석회 제거술은 연골의 손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수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이는 문제가 생긴 관절 부위에 1cm 미만의 구멍을 내어 특수 카메라가 부착된 관절 내시경을 삽입한 후 관절 사이의 힘줄 상태를 모니터로 관찰하면서 침착된 석회를 제거하고 염증을 개선하는 수술이다.
아울러, 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을 확대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치료가 가능하고, 최소 절개로 출혈과 같은 신체적인 손상을 줄여 합병증에 노출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