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 작은 자극에도 어깨부위에 뻐근한 통증과 날카로운 것으로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고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면 석회화건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석회화건염이란 어깨를 둘러싸고 있는 회전근개 부위에 석회성 물질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통증을 염증을 야기해 운동 기능에 이상을 초래한다. 이는 다양한 관절 부위에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어깨 관절 중 극상건에 발생되는 것이 흔하며, 주로 퇴행성 변화 이전에 비교적 젊은 나이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이고 있다.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지만, 주변 조직의 국소 압박 및 원활하지 못한 혈액공급, 그리고 노화로 인한 힘줄의 퇴행성 변화로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어깨에 자극을 주는 스포츠활동을 무리하게 진행하여 어깨에 힘줄에 손상을 받은 경우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회화건염은 다른 어깨 질환과 달리 어느 날 갑자기 통증을 느끼는데, 어떠한 경우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어깨 통증이 진행되면 야간에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지만, 낮에는 통증의 강도가 덜해지거나 아예 사라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여 많은 사람들을 헷갈리게 만들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게 한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어깨 관절이 굳고 기능을 떨어지게 만들 수 있어 가능한 빨리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초기 석회화건염의 경우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의 보존적 치료법을 통해 관절 부위의 염증과 통증이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꾸준한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미미하거나 이미 초기 단계를 놓쳐 심각한 상태라면 관절경적 석회제거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는데, 해당 제거술은 어깨 힘줄에 침착 되어 있는 석회질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한 후, 관절내시경을 통해 제거하는 수술로 지름 4mm의 초소형 카메라와 특수 기구를 어깨 관절 내부에 삽입하여 병변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권순억 병원장은 “석회화건염이 발생되면 보통 X-ray 상으로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위치나 침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MRI 검사가 필요하다”며, “검사를 통해 석회 사이즈가 큰 경우 수술적 치료인 관절경적 석회제거술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어깨 통증이 발생했을 때에는 방치하지 말고 곧바로 병원에 내원해 조기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며, 평소 일상생활에서 석화화건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절 부위의 과도한 사용을 피하고, 적당한 운동을 통하여 어깨의 근력을 강화 시키면서 관절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것이 좋은 예방법이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