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ad

logo

ad
ad

HOME  >  산업

CJ대한통운 파업 장기화 조짐…하루 40~50만 건 택배 배송 차질

입력 2022-01-04 14:05

노조 '끝까지 간다' vs 사측 '교섭 없어'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 CJ대한통운 택배 노동자들이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CJ그룹 본사 앞에서 열린 CJ대한통운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 CJ대한통운 택배 노동자들이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CJ그룹 본사 앞에서 열린 CJ대한통운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비욘드포스트 유제원 기자] 전국 택배업계 점유율 1위인 CJ대한통운 소속 택배기사들의 총파업이 1주일 넘게 이어지면서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 CJ대한통운 지부는 지난달 28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CJ대한통운 기사 2만여 명 중 쟁의권이 있는 조합원 1700여 명이 참여했다. 하루 평균 40만~50만 건 정도의 택배 배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파업의 원인은 지난해 1월과 6월 두 차례 이뤄진 사회적 합의문에 대한 해석 차이에 있다.

택배노조는 "택배기사들의 과로사 방지 등을 위해 마련된 사회적 합의에 따라 택배요금을 170원 인상했지만 사측이 이중 50원가량만 택배기사들을 위해 쓰고 나머지는 사측 이윤으로 챙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배분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측은 "통상 수수료 배분 방식에 따라 택배요금 인상분의 절반이 이미 택배기사들에 수수료로 배분된다"며 "오히려 택배노조가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방해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이번 파업만큼은 끝까지 가겠다고 하고 사측은 택배기사와 직접 고용 관계가 아니니 교섭할 일은 없다는 원론만 반복하고 있어 소통의 움직임이 없는 실정이다..

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는 지난 23일 찬반투표 실시 결과 93.6%의 찬성으로 총파업을 결정했다. 실제 지난 28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에는 CJ대한통운 기사 2만여명 중 노조원 2500명 가운데 쟁의권이 있는 조합원 1700여명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kingheart@hanmail.net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