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미혼 여성의 경우 결혼 이후 발견한 자궁선근증 때문에 임신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적지 않다. 자궁선근증이란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해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을 말한다.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보통 출산이나 유산, 제왕절개 등이 영향을 미치며 이런 상황을 자주 겪을수록 발병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 출산 경험이 있는 40~50대 여성에게 흔히 발생되지만 최근 들어 젊은 환자의 비율 역시 높아지는 추세다.
전체 환자의 30% 정도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일반적으로 생리 시작 일주일 전부터 시작되는 심한 생리통과 지속되는 골반통, 과도하게 증가된 생리 양, 빈혈, 생리불순 등이 있다면 자궁선근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최상산부인과 최동석 대표원장은 “자궁선근증은 착상과 임신 과정의 핵심인 자궁 근육층과 자궁내막에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조기유산과 조산, 태막 유착 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방치하기 보다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신을 준비 중인 여성의 경우에는 자궁은 보존하고 가임력을 회복하는데 중점 치료가 필요한데, 하이푸와 같은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자궁선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궁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5년 이내에 재발할 확률이 30~40% 정도에 이르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