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스원 '얼굴인식리더 2.0'은 ▲인식 소요 시간을 1초에서 0.6초로 단축 ▲출입관리 가능 인원을 3천명에서 5만명으로 16배 증대 ▲설치 가능 범위를 실내에서 실외로 확대 등으로 기존 리더기와 차별화됐다.
‘얼굴인식리더 2.0'은 AI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인식 속도를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정확도는 높였다. 먼저, 인식된 얼굴이 출입이 가능한 인원인지 인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존 제품(1초)의 절반 수준인 0.6초로 단축했다. 리더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얼굴인식 가능거리를 1미터에서 1.3미터로 늘려 얼굴을 멀리서 인식하고 판독하는 리딩타임을 사전에 확보, 리더기가 반응하는 시간을 줄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얼굴인식리더는 얼굴의 일부 특징을 추출, 비교해 인증하는 방식의 AI 알고리즘으로 운영 되었지만, 얼굴인식리더 2.0은 기존의 리더기 대비 약 2배가량의 더 많은 특징을 추출한 후 비교하는 방식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인식 정확도를 높였다. 이러한 에스원의 얼굴인식리더 AI 알고리즘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테스트 결과 얼굴인식 정확도가 99.9%인 것으로 밝혀졌다.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사업장 방역과 위생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언택트 출입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새롭게 출시한 '얼굴인식리더 2.0'은 이러한 상황에 적합한 솔루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존 리더기에 비해 얼굴인식리더기 1대당 출입관리를 할 수 있는 인원이 16배나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에 출시된 1.0 제품은 CPU, RAM 등의 기기 사양과 초창기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AI 알고리즘의 한계로 인해 출입관리 가능 인원이 3천명에 그쳤다. '얼굴인식리더 2.0'은 CPU, 기기 사양을 업그레이드하고 딥러닝 기술을 개선, AI 알고리즘을 고도화해 출입관리 가능 인원을 5만명까지 확대했다.
또 ‘얼굴인식리더 2.0’은 기존 리더기와 달리 실외 설치가 가능하다. 기존 리더기에는 적외선 카메라만 내장되어 있었지만 '얼굴인식리더 2.0'은 적외선 카메라뿐만 아니라 일반 카메라까지 내장되어 실외의 어두운 장소에서도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얼굴인식리더 2.0'은 액체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어 먼지나 분진이 많은 건설 현장에서도 기기 장애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강한 햇빛, 역광이 있을 경우 얼굴인식이 어려울 수 있어 실외에 설치 시에는 직사 광선을 피해 처마, 가림막 등이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에스원 관계자는 "마스크 의무화가 점진적으로 해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얼굴인식리더와 같은 언택트 솔루션 도입에 대한 니즈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안전은 물론 편의까지 제공할 수 있는 관련 솔루션 개발에 더욱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