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로결석이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 요로계에 요석 즉, 돌이 나타나 발병하는 비뇨기 질환이다. 요로계에 발병하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옆구리 통증이 두드러지는 것은 어떤 이유일까?
요석 결정이 요로계에 위치한 가운데 점차 움직이면서 내부 점막에 상처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소변에 피가 섞여 배출되는 혈뇨, 소변 색이 불투명하게 변하는 탁뇨 등을 초래한다. 나아가 발열, 오한, 구토, 복부팽만, 빈뇨, 절박뇨, 잔뇨감 등도 요로결석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요로결석과 옆구리 통증의 상관관계는 요석 결정 이동과 관련이 깊다. 신장에 결석이 나타나 요관이행부, 요관, 방광, 요도를 이동하며 격렬한 비뇨기 연동 운동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로결석을 치료하고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요로계에 발생한 요석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치료가 필수적이다. 옆구리 통증이 지속된다면 비뇨의학과에 내원해 결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다음 이를 제거하는 것이 관건이다.
정밀 진단 결과 요석 크기가 작다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대기요법, 바깥 부위에서 충격파를 조사해 요석 결정을 부수어 배출시키는 체외충격파쇄석술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결석이 지나치게 큰 경우, 결석 위치가 좋지 않은 경우 등 일부 결석 환자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이때 요관내시경수술을 통해 결석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골드만비뇨의학과 강남점 이민종 원장은 “평소 물을 자주 마시지 않거나 왕성한 신체 활동으로 땀이 과도하게 배출될 경우 소변의 무기 성분이 비뇨기에 점차 농축돼 요로결석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여름철에 물을 충분히 마시고 칼슘, 인의 함량이 적은 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