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소요되는 사전심의 기간 대폭 단축…광고심의 효율성 향상
특허출원 기술력 입증…OCR 기술 접목해 이미지 광고심의 기능 추가

AI 광고심의 어시스턴트는 현업 담당자가 광고심의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한 문서를 사전 검토하고 보완해주는 기술이다. 케이뱅크가 업스테이지의 ‘솔라’ 모델 등과 AI 협력을 통해 지난 2월 자체 구축한 프라이빗 LLM(대규모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했다.
금융 상품·서비스 광고는 소비자보호 등을 위해 엄격한 심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에 케이뱅크는 광고심의 절차를 ‘사전심의’와 ‘정식심의’ 단계로 구분해 운영하고 있다.
사전심의 단계에서는 현업 담당자가 광고 문구를 작성하고 체크리스트를 점검한 뒤, 심의 부서와의 협의를 통해 문구를 수정·보완한다. 이 과정은 담당자의 숙련도나 광고문구의 난이도에 따라 정식심의 요청까지 1~2일 이상 소요되며 업무 효율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됐다.
AI 광고심의 어시스턴트는 이러한 번거로움을 크게 줄였다. AI가 현업 담당자가 작성한 자료를 1분 이내에 검토·분석해 적합성 여부를 즉시 피드백해준다. 담당자는 AI의 피드백을 반영해 적합한 자료를 심의 부서에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광고심의 과정의 속도와 효율성이 대폭 향상됐다.
특히 이번 기술은 케이뱅크가 자체 구축한 프라이빗 LLM을 기반으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프라이빗 LLM은 금융 전문 데이터를 학습시켜 신뢰도가 높으며,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되지 않고 내부 서버에서만 운영되기 때문에 보안성도 뛰어나다.
케이뱅크는 AI 광고심의 어시스턴트에 대한 특허 출원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으며, 향후 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접목해 이미지 광고심의 기능을 추가하고 프라이빗 LLM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AI 어시스턴트의 정확도와 활용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AI를 활용해 광고심의 과정에서 현업 부서와 심의 부서 간 업무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업무에 AI 기술을 결합해 디지털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