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격의료 플랫폼 닥터나우(대표이사 장지호)가 제로페이에 가입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비대면진료 지원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닥터나우는 제로페이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한국간편결제진흥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아플 때 언제든 비대면진료와 처방약 배송을 받을 수 있도록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한다. 현재 제로페이의 누적 가맹점 수는 168만여 곳에 달한다. 또한 닥터나우는 전국 3000여 곳의 병의원 및 약국과 제휴를 맺고 비대면진료와 처방약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닥터나우 장지호 대표는 “소상공인 분들 중에는 병원에 가야 하는 상황에서 점포를 운영하느라 이를 미루
LG전자는 김치 외에도 다양한 식재료를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LG 디오스 김치톡톡’ 김치냉장고 신제품을 오는 11일부터 순차적으로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이번에 선보이는 신제품은 스탠드식 53종, 뚜껑식 12종 등 총 65종이다.LG전자는 잎채소, 복숭아, 수박, 주류 등 11가지 식재료 및 식품을 맞춤 보관하는 ‘다목적 보관 모드’를 491리터 용량의 스탠드식 신제품에 처음 적용해 김치냉장고의 활용도를 대폭 높였다.LG전자는 더 나은 고객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객들의 김치냉장고 사용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김장철인 겨울철을 제외하고 많은 고객들이 김치냉장고의 각 칸을 김치 보관이 아닌 야채/과일 혹은 쌀/잡곡 보관,
삼성전자의 갤럭시 워치 시리즈에 ‘불규칙 심장 리듬 알림’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삼성전자는 ‘삼성 헬스 모니터’ 앱의 ‘불규칙 심장 리듬 알림(IHRN)’ 기능이 미국 FDA(식품의약국)의 승인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불규칙 심장 리듬 알림’ 기능은 하반기 출시되는 갤럭시 워치 신제품에 탑재된다. 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갤럭시 워치5와 워치4 시리즈’에도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불규칙한 심장 리듬은 갤럭시 워치의 ‘바이오 액티브 센서’를 통해 감지된다. 실제,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갤럭시 워치가 사용자의 불규칙 심장 박동을 연속적으로 감지하면 이를 이상 징후로 판단해 ‘심방세동’ 가능성이 있다는 알림 메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1분기 기간 주요 건설사 20곳에 대해 품질경영 관심도(정보량 = 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조사했다고 9일 밝혔다.조사대상 건설사는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도급순위 30대 건설사중 20개 주요 건설사이며 조사 방식은 '건설사 이름'과 '품질' 키워드 사이에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수도 있다.분석 결과 롯데건설이 504건으로 1위에 랭크됐다. 업계에서 유일하
2023년 5월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글과컴퓨터, 2위 엠로, 3위 안랩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4월 9일부터 5월 9일까지의 소프트웨어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5,387,125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SK텔레콤(SKT)이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썼다.SKT는 한국생산성본부가 선정하는 2023년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에서 이동전화서비스 부문 2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8일 밝혔다.이는 NCSI가 국내에 도입된 1998년 이후 26년간 단 한 해도 빠짐없이 1위를 차지한 것으로, 26년 연속 1위는 국내 전체 산업군 통틀어 SKT가 유일하다.NCSI는 매년 기업의 상품·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직접 평가한 만족 수준을 측정해 계량화한 지표로, 한국생산성본부와 미국 미시간대가 공동 개발해 세계 각국에서 널리 활용하는 세계적 권위의 고객만족도 조사 지표다.SKT가 26년 연속 1위에 오른데 이어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등 SK ICT 패밀
NFT미래포럼(회장사 ㈜더문랩스)은 (사)한국실감메타버스콘텐츠협회와 NFT 개발 및 신기술융합콘텐츠 서비스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NFT미래포럼과 (사)한국실감메타버스콘텐츠협회는 블록체인 기반 NFT 개발 및 디자인,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협업을 진행하고 신기술융합콘텐츠 분야 발전에 공동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양측은 블록체인 제반 분야에 대한 투자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하고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콘텐츠 관련 사업 진출에도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해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사)한국실감메타버스콘텐츠협회 윤상규 회장은 "NFT미래포럼과의 협약은 최근 국가적으로 중
클라우드 선도기업 메가존클라우드가 바이트댄스의 기업용 솔루션 사업부 바이트플러스 및 라이브커머스 솔루션 전문기업 라라스테이션과 AI 기반 글로벌 라이브커머스 솔루션 기술 협력을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3사는 한국에서 진행되는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클라우드 및 AI 기술을 이용해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언어장벽 없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라이브커머스 솔루션(LaaS: Livestreaming as a Service) 사업에 있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기반 초저지연 글로벌 라이브스트리밍 기술 ▲AI 기반 115개 언어 상호번역 언어 기술 등에 있어 기술교류 및 공동개발을 진행한다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인 브이원바이오는 지난 2일 한국콜마홀딩스와 함께 건강견 유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플랫품 기술을 기반으로 반려동물 동물의약외품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브이원바이오는 원헬스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면역치료제 및 반려동물 영양제를 개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벤처기업으로 자체 구축한 건강견 유래 마이크로바이옴 뱅킹, 원헬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플랫폼으로부터 도출한 균주들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통해서 양사는 건강견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동물용 의약외품 개발연구, 건강견 마이크로바이옴에 관한 학술 및 정보에 대한 공동 활용 및 상업화
SK텔레콤(SKT)은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 내 소통공간인 이프스퀘어를 통해 실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국내외 명소들을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SKT은 선보이는 국내외 명소는 미국 LA 할리우드 산, 남산서울타워, 청계천, 강남역 사거리, 홍대입구역 사거리 등 총 5곳이다. 이번 명소들은 기존의 이프스퀘어가 그래픽 방식으로 제작되던 것과 다르게 실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돼 현실감을 크게 높였다.SKT는 이번 실사 기반 국내외 명소 오픈에 대해 시공간 제약 없는 메타버스 세상 속에서 전세계 이용자들이 가보고 싶었던 장소를 자유롭게 구경하며 색다른 추억을 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특히, 강남역과 할리우드 산 이프스퀘
2023년 5월 생명과학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씨젠, 2위 휴마시스, 3위 레고켐바이오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생명과학서비스 상장기업 28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4월 8일부터 5월 8일까지의 생명과학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0,950,77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2023년 5월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에코프로, 2위 LG화학, 3위 한화솔루션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화학 상장기업 94개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지난 4월 8일부터 5월 8일까지의 94개 화학 상장기업의 브랜드 빅데이터 90,731,090개를 분석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화학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
2022년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함께 ESG 투자가 부진한 성과를 보이면서 미국에서는 ESG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으로 ‘Anti-ESG’가 부상하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 하온누리 연구원의 ‘최근 미국 내 Anti-ESG의 확산’ 보고서에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민주당에 대항, 공화당 주도의 정치권을 중심으로 Anti ESG가 확산되고 있으며 2022년말 기준으로 39개의 법안이 제안됐다. 특히 미국의 지속가능 펀드는 2022년부터 계속해서 자금의 순유출을 보이고 있으나, Anti-ESG ETF는 자금의 순유입이 계속되며 2023년 1월의 연환산 수익률은 20% 이상이다. ESG 투자 부진의 배경으로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