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문화재 조사 및 보존관리 지원 사업에 올해 복권기금 100억여 원 투입

비지정문화유산은 국가 지정 문화유산과는 달리 국가나 지자체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가 미흡하여 오랫동안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훼손된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문화유산으로 지정·등록되지 못한 사찰 내 불교 문화유산들은 상대적으로 소홀한 대접을 받아왔다.
이후 ‘오십삼불도’는 복권기금으로 운영하는 ‘일반문화재 조사 및 보존관리 지원 사업’을 통해 복원 및 보존처리가 가능해져, 얼룩과 재질열화 등의 피해를 보수하고, 건식 세척으로 추가적인 훼손을 방지해 안전한 보존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로또복권, 연금복권 등 복권 판매 수익금으로 조성된 복권기금이 ‘일반문화재 조사 및 보존관리 사업’을 지원하며,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비지정문화유산의 보존 처리에 나서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보존체계를 확립하는데 힘쓰고 있다.
일반문화재 조사 및 보존관리 지원 사업은 2002년부터 문화재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사업비 전액을 복권기금으로 충당한다. 올해는 복권기금 101억 64백만 원을 투입해 비지정문화재 보존관리 및 예방적 관리 외에 불교문화재 일제조사, 대형불화 정밀조사, 문화재 다량소장처 보존관리 지원, 문화재 사찰 보존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 다량소장처 소유 문화유산의 훼손을 방지하고, 체계적인 보존관리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항온항습기 가동비 등 경상경비 지원, 비지정문화유산 보존처리, 학예인력 지원, 유물관리 시스템 관리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송광사 성보박물관 학예연구실 김태형 실장은 “국가 지정 문화유산은 보존처리 비용을 신청하면 보존관리를 진행할 수 있었지만, 비지정문화유산의 경우는 오랫동안 정책상 보호 및 관리 지원이 미흡했다”며 “예산 부족으로 문화유산 보존관리에 어려움을 겪다가, 복권기금을 통해 ‘오십삼불도’의 보존 처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여찬원 주무관은 “복권기금 지원을 통해 비지정문화유산과 민간 소장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며 “지원 규모가 확대돼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관리 환경이 더욱 개선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관계자는 “복권기금은 우리가 구입하는 복권 한 장(1,000원)의 판매 수익금(약 410원)이 불교에서 말하는 ‘십시일반(十匙一飯)’으로 모여 조성된다”며 “복권기금은 일반문화재 보존관리 지원 외에 문화재돌봄사업, 문화재 재난안전관리, 궁능방재시스템 구축 등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 보호에도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