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데이터처, "양질 일자리인 제조업 건설업 부진 영향 커"...건설업 일자리, 18개월 연속 감소

국가데이터처가 12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0대 실업자 수가 2만4000명이 늘어난 33만4000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자수는 9000명이 감소한 40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청년층 고용률은 44.6%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p) 낮아졌다. 18개월째 하락세다.
10월 취업자 수는 19만여명 증가하며 10만∼20만명대의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업종별·연령별로는 뚜렷하게 엇갈린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청년층은 취업자가 16만명 이상 줄고 고용률이 18개월째 떨어졌다.
지난 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3000명이 늘었다.

취업자 수는 올해 들어 지난 5월(24만5000명)과 9월(31만2000명)을 제외하고는 매달 10만명대 증가 폭을 기록하고 있다고 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연령대로 보면 60세 이상(33만4000명), 30대(8만명)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16만3000명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양질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건설업 등 부진이 지속된 영향이 컸다.
건설업은 12만3000명 줄며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은 지난달(8만4000명)보다 확대됐다.
제조업도 5만1000명 줄며 1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 폭은 작년 10월(3만3000명) 이후로 가장 적었다.
농림어업도 12만4000명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령화·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인한 농림어가의 구조적인 감소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도소매업 취업자는 4만6000명 늘며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명 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공연·전시 할인권 지급 등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를 기록했다. 10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