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 급증한 기저효과 영향 컸다...전산업생산도 5년 8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줄어
국가데이터처가 28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이 전월보다 26.5% 급감하면서 지난 1982년 10월(-33.3%) 이후로 43년만에 최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인공지능(AI) 훈풍으로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와는 별개로 9월 생산이 20% 안팎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생산 급감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계절조정)는 112.9(2020년=100)로 전달보다 2.5% 감소했다. 지난 2020년 2월(-2.9%) 이후로 최대 감소폭이다.
투자지표도 부진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4.1% 감소했다. 기계류(-12.2%)·운동장비(-18.4%)에서 투자가 두 자릿수대 급감했다.
건설기성(불변)도 20.9% 줄면서 지난 1997년 7월 통계작성 이후로 최대 감소 폭을 나타냈다. 건축이 23.0%, 토목이 15.1% 각각 줄었다.
경기종합지수는 숨고르기 하는 모습이다.

소비지표는 회복 조짐을 이어갔다.
재화 판매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3.5% 증가하면서 석 달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생산지표처럼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2023년 2월(6.1%) 이후로 2년 8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품목별로는 음식료·의복 등의 판매가 늘었다. 추석연휴 영향이 컸던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서비스업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0.6% 줄면서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