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북미 상업용 태양광발전소에 연계해 실증사업을 시작함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분산발전 사업모델 발굴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사업파트너는 2012년 한국 최초로 미국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를 실행한 OCI다.
양사는 이날 서울 현대차그룹 본사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에너지 저장장치 실증 및 분산 발전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양사는 폐배터리를 재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와 태양광 발전을 연계한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분산형 발전사업으로 확장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게 현대차 측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OCI는 공주시의 700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와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4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을 제공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한 ESS를 제공하고 유지보수를 담당한다. 양사는 공동으로 사업성을 검증하기로 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란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장치로 송·배전, 가정 및 산업용 등 다양하게 활용돼 전력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 전력 수급 안정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연 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지속성이 떨어지고 발전이 일정하지 않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사용되는 필수 장치다.
지영조 현대차그룹 전략기술본부장 사장은 “전기차 폐배터리 처리 문제를 가장친환경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바로 에너지저장장치”라며 “이번 협업을 통해 기술력 증진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