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계자는 “이는 미국에서 팔리게 될 전기자동차를 추가 수주했기 때문”이라며 “최태원 SK회장이 밝힌 50억달러 투자가 현실화 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8년 말 미국 조지아주 잭슨 카운티 커머스시에 9.8GWh/년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결정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3월 기공식 이후, 커머스 시 일대 약 34만평의 부지에 건설 중인 이 공장은 2021년 하반기 기계적 완공을 마치고 2022년 초 양산공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또 SK이노베이션은 조지아 배터리 공장에 기술을 접목해 본격적인 ‘3세대 전기차’ 시대를 열 계획이다.
3세대 전기차는 한번 충전만으로 500km이상을 달릴 수 있어 내연 기관차량과 대등한 주행거리를 갖추며,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동하더라도 중간에 충전을 할 필요가 없다.
한편 SK이노베이션의 미국 조지아 배터리 공장이 본격 가동되는 2022년, 올해 상업 생산에 들어가는 중국, 헝가리 공장과 함께 글로벌 4각 생산 체계를 완성하게 된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능력도 현재 19.7GWh(순수전기차 40만대분)에서 60GWh(120만대분) 까지 확대돼 전기차 배터리 업체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된다는 기대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