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전이용률 상승과 국제유가 하락으로 연료비를 아꼈지만 냉·난방 수요 감소로 전기판매가 급감한 까닭이다.
28일 한전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손실은 1조3566억원으로 전년대비 1조1486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9조928억원으로 1조5349억원 감소했다.
한전은 영업손실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전기판매 수익하락을 들었다. 실제 전기판매 수익은 전년대비 9030억원 줄었다. 2018년과 비교해 혹한·혹서 기간이 길지 않아 냉·난방 수요가 많지 않았고 평창 올림픽 개최에 따른 기저효과도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진 것으로 보인다.
온실가스 배출권 비용으로 7095억원을 사용한 점도 눈에 띈다. 이는 2018년과 비교해 6565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무상할당량이 전년대비 18%축소되면서 관련 비용이 증가된 것으로 풀이된다. 배출권 가격도 t당 3만2000원으로 2018년보다 5000원 올랐다. 경매방식으로 할당받아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을수록 비용 부담은 늘어난다.
감가상각비·수선유지 비용도 6338억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신고리 4호기 준공 등 발전부문 상각비가 약 2000억원 증가했다. 김제·부안· 송전선로(T/L) 건설 등 송배전 부문 상각비도 3000억원가량 늘었다.
인원증가·퇴직급여에 들어가는 비용도 5조1748억원으로 전년대비 4976억원 늘었다. 퇴직급여부채를 최근 대법원 판례에 따른 방식으로 추정하면서 관련 비용이 약 3000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원전복구충당부채전입액도 4493억원으로 1874억원 늘었다. 여기에는 방사성 폐기물 관리 비용, 원전해체 비용 단가 상승 등이 포함된다.
연료비는 1조8318억원 줄어든 18조2609억원으로 집계됐다. 원전이용률이 70.6%로 4.7%포인트(p) 상승했고 올해 5월부터 적용된 액화천연가스(LNG) 세제 개편(91→23원/㎏)도 호재로 작용했다.
다만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 석탄이용률은 4%p가량 하락하면서 실적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전은 2조1000억원 규모의 재무개선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여기에는 설비보수 자체 수행, 송·배전설비 시공 기준 개선 등이 포함된다. 올해 원전이용률이 70% 중반대로 상승할 것이라는 점도 긍정적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