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민의 순응해야"
"긴급재정명령권 가능하나 국회 합의가 정상정치"

이 원내대표는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나와 이같이 말하며 "수령을 안 하는 분들도 계실 것이기 때문에 (소득하위 70% 지급과 비교해) 실제 재정적인 갭은 1조~2조원 정도밖에 나지 않을 것 같다고 추산한다"고 예상했다.
이 원내대표는 "실제 선거에 들어가서 민심을 접해보니 서울은 55% 정도만이 혜택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갈등 소지가 너무 커져서 국민 통합을 확보하기 어렵다. 차제에 고소득자 등이 '노블리스 오블리주'(사회 고위직의 도덕적 의무) 정신을 발휘해 사회연대로 국민통합성이 높아지면 이후 난관을 헤쳐나가는 데 더 큰 에너지를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득하위 70% 지급' 주장을 고수했던 기획재정부와의 입장 차에 대해서는 "기재부는 경제와 재정 중심으로 판단하겠지만 저희는 종합적으로 최종 정치 판단을 하기 때문에 '기재부는 틀렸고 우리만 옳았다'고 할 수는 없다"며 "서로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그 가운데 입장을 조화롭게 정리했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미래통합당에서 예산 수정안 제출을 요구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시간끌기용 아니냐. (지급을) 무산시키려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점점 짙게 가지기 시작했다"며 "(수정안 제출은) 정상적 국가와 정부 운영 과정에선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패자의 억지논리나 혹은 막무가내식 고집도 국민들이 볼 때 볼썽사납지 않겠느냐"며 "통합당이 입장을 바꾸고 총선 때 민의에 순응하는 게 순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의 긴급재정명령권 발동에 대해서는 "국회가 열릴 수 없는 상황이 될 때 정부나 대통령이 재정명령권을 발동할 수는 있을 것"이라면서도 "논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명령권을 발동하는 것보다 통합당이 마음을 바꿔서 국회 합의를 통해 지원하는 게 (좋다). 그게 훨씬 더 정상적인 정치로 가는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 오는 8월 이해찬 대표의 임기가 끝나기 전 조기 전당대회를 여는 안이 제기되는 데 대해서는 "그런 것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당대표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저는 전혀 생각이 없다"며 "다시 의원으로 돌아와서 지역구에서 못했던 일을 하고 한 사람의 멤버로서 우리당에 충실히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