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 3년간 180조 투자, 4만명 고용 발표
국내 130조의 7조원이상 초과달성 예상
시스템반도체·바이오·모빌리티 집중 육성
상생과 협력 프로그램…스타트업·중소기업 지원

삼성은 2년 전인 지난 2018년 8월, 향후 3년간 투자목표 180조와 이에 비례한 고용목표를 4만명으로 설정했다. 삼성의 미래 주력 사업들은 정부의 신사업과 맥이 닿아.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삼성은 시스템반도체와 바이오 그리고 차세대 모빌리티에 각각 수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상생과 동행이라는 측면에도 삼성은 스타트업 지원,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펩리스 IP지원등 활발할 활동을 벌이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은 지난 2018년 8월 국내 180조를 투자하겠다는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삼성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시설과 연구개발 R&D에 약 110조원을 투자한 데 이어 올해 규모를 확대에 무난하게 3개년 목표치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 투자의 경우 당초 목표인 약 130조원을 7조원 이상 초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용 부회장이 올초 “기업의 본분은 고용 창출과 혁신 투자로, 2년 전 약속을 꼭 지키겠다”고 말한 게 잇단 대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실행에 옮겨진 셈이다.
신규채용 규모도 지난해까지 80% 이상에 달했고 코로나 사태에도 올 연말까지 목표치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3개년 목표치를 4만명으로 잡았다.
정부의 3대 중점 육성 산업인 ▲비메모리 반도체, ▲바이오,▲ 차세대 모빌리티 등의 분야에서 삼성은 민간투자를 주도하며 미래 먹거리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삼성은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2030년까지 글로벌 1위로 올라선다는 로드맵을 담은 ‘반도체 비전 2020’을 지난해 4월 발표했다. 이는 연구개발(R&D) 및 생산시설 확충에 총 133조원(R&D 73조원, 시설 60조원)을 투자하는 동시에 전문 인력 약 1만5000명을 채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삼성은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올 연말까지 약 26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 외 바이오사업과 관련해 지난 11일 인천 송도에 단일 공장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내걸었다. 이곳에서는 5조6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 뿐아니라 2만7000여명의 고용 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 모빌리티 사업은 전장사업 및 삼성SDI를 필두로 한 전가차배터리 사업이 기대를 받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 5월에 이어 지난달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을 만나 양사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은 ‘동행’ 철학 실천이 담긴 활동들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상생형 프로그램 등 CSR구현 ▲중소기업 대상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C랩 인사이드’와 ‘C랩 아웃사이드’ ▲ 우수협력사 인센티드 제공 ▲ 국내 팹리스 업체 IP제공 등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