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ad

HOME  >  금융·증권

모리셔스 해안 돌고래 17마리 폐사…日벌크선 좌초 원인?

입력 2020-08-27 15:22

환경론자들, 기름 유출 때문 의심

인도양 모리셔스의 해안가에 폐사한 돌고래 사체들이 떠밀려 와 있다. 이 사진은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26일 제공했다. 일본 벌크선 와카시오 MV호가 지난 7월25일 좌초되면서 많은 기름이 유출된 모리셔스 해안에서 최소한 17마리의 돌고래가 폐사한 채 발견돼 기름 유출이 원인인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어지고 있다.
인도양 모리셔스의 해안가에 폐사한 돌고래 사체들이 떠밀려 와 있다. 이 사진은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26일 제공했다. 일본 벌크선 와카시오 MV호가 지난 7월25일 좌초되면서 많은 기름이 유출된 모리셔스 해안에서 최소한 17마리의 돌고래가 폐사한 채 발견돼 기름 유출이 원인인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어지고 있다.
<뉴시스> 일본 벌크선 와카시오 MV호가 좌초되면서 많은 기름이 유출된 모리셔스 해안에서 최소한 17마리의 돌고래가 폐사한 채 발견돼 기름 유출이 원인인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어지고 있다고 BBC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환경 운동가들은 선박에서 유출된 기름 또는 당국이 선박 일부를 침몰시킨 것 때문에 돌고래들이 폐사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모리셔스 어업부장관은 "1차 조사 결과 돌고래들의 폐사와 기름 유출 사이에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돌고래들 중 적어도 두 마리에서 상어에 물린 흔적이 발견됐다고 말했다.모리셔스 당국은 현재 돌고래들의 사체를 부검하고 있다.

17마리나 되는 많은 돌고래들이 동시에 폐사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2019년 5월 돌고래 2마리가 폐사한 채 발견됐었다.
벌크선 와카시오호의 좌초 이후 물고기와 게 등의 폐사체는 많이 발견됐었지만 돌고래들의 폐사체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죽은 채 해변으로 떠밀려온 돌고래들에 모리셔스 국민들은 분노했다. 니틴 지하라는 주민은 "아침애 해변에서 돌고래들 사체를 목격하는 것은 악몽을 꾼 것보다도 더 나쁘다"고 말했다. 그는 "8~10마리 정도의 돌고래 사체를 보았다. 산호초들 사이에 더 있을지 모르겠다"라고 덧붙였다.

환경 운동가들은 돌고래들의 폐사가 기름 유출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와카시오 MV호는 지난 7월25일 희귀 야생동물 보호구역인 푸앵트 데스니에서 산호초에 좌초됐다. 이 지역은 습지 보호에 대한 람사르협약에 의해 국제적으로 중요한 장소로 지정된 습지가 있다.

해양학자 바센 카우파이무투는 돌고래들에서 연료 냄새가 났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상황이 더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라고 덧붙였다.

환경보호론자인 수닐 도와카싱도 "후유증이 오랜 시간 지속될 것이다. 이것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