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OLED 디스플레이 기술 유전체 기반 ‘개인 인증키’ 개발

젠아이디는 이번 연구용역으로 DNA 서열 활용 보안인증 기술 개발을 위한 파이프라인 구축에 나선다. 국회의 공인인증서 폐지로 새로운 보안인증 수단이 필요한 시점에서 생물학적 서명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 정보 DB를 구축하고 식별인자 분석 및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공인인증서와 ID, PW 방식의 무결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목표다.
젠아이디는 이번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펫보험 가입 시 △DNA 기반 동물 ID로 펫 전용 보험금 청구 △유전자 분석을 통한 유전병, 질환, 학습 능력 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펫카드 내 IC칩 메모리 공간을 활용해 펫 가족의 유전자 정보에 따른 약물 부작용 정보, 유전병 정보, 질환 등을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과 결합하면 펫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영역을 개척할 수 있다.
연구용역을 수행할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김지현 교수는 2009년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유전체 진화를 연구한 논문을 발표한 유전체 전문가다. 2009년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온빛상, 2018년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상,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상 등을 수상했다.
젠아이디는 연세대와 이번 연구용역 계약을 통해 무결성 유전체 기반 ID 사업에 새로운 K-바이오의 트렌드를 창출하는 데 힘을 쏟을 계획이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