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국토교통부는 3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와 발주청 등의 명단을 공개했다.
가장 사망자가 많은 곳은 동부건설 현장이었다. 3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7월 30일 대구 메리어트허텔 신축공사장에서 벽체 해체작업 중 벽이 무너지면서 1명이 사망했고, 9월 2일 평택 고덕 아파트 현장에서 건설용 리프트 추락사고로 2명이 숨졌다.
대림산업, GS건설, 포스코건설 등 11개 대형 건설사 현장에도 1명씩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GS건설의 경우 지난 2분기 3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했고 지난 8월 18일 또다시 계양 1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현장에서 1명의 사망사고가 났다. 대우건설과 한신공영의 경우에도 2분기에 각 1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한데 이어 3분기에도 사망사고가 이어졌다.
3분기 중 가장 많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발주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국가철도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대구광역시 등 4개 기관으로 각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서울시에선 강동구 2명, 강남구·서대문구·서초구·용산구 각 1명 등 총 6명, 전남에선 순천시·여수시·함평군에서 1명씩 총 3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아울러 국토부는 사망사고 발생한 대형 건설사의 건설현장 143개 현장에 대해 7~9월 특별·불시점검을 벌였고 점검 결과 총 206건의 부적정 사례가 적발됐다. 국토부는 추락방지 시설 설치 미흡, 주요 구조부 철근 노출 등 4건에 대해선 벌점을 부과할 예정이다.
김현미 장관은 "건설현장이 더욱 안전한 일터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상위 건설사들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앞으로도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을 대상으로 집중점검하는 '징벌적 현장점검'을 꾸준히 벌여 업계가 선제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