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중 임플란트는 심미성이나 저작력에서 뛰어나 선호 받는 편이다. 무엇보다 한번 식립하면 오랜 기간 자연 치아처럼 사용할 수 있어 최근에는 보다 대중적인 치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임플란트 식립이 잘못되었거나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위염이 발생한 경우 임플란트 재수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의 치아와 맞지 않는 보철물로 인해 재수술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임플란트 지대주가 환자에게 맞지 않거나 기존 치아와의 이물감이 느껴지게 되면 보철물이 깨지거나 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강 내 3D스캔과 보철물 3D스캔을 이용하여 환자 잇몸에 맞는 맞춤형 받침대를 식립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임플란트 재수술을 계획 중이라면 더욱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이는 기존 임플란트는 제거하고 새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므로 초기 수술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난이도도 높기 때문이다. 이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의료진을 통해 3D-CT 장비 등을 이용하여 현재 임플란트의 상태와 구강 구조, 뼈 상태 등을 꼼꼼히 확인한 후 진행해야 한다.
이정택 에스플란트치과병원 원장은 “임플란트 재수술 시 기존 임플란트를 제거하는데 광범위한 골 파괴가 동반될 수 있으며, 치조골의 상태 또한 처음과 같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뼈이식도 진행할 수 있다"며 "특히 재수술의 경우 잇몸 뼈를 다시 재건하는 시술과 치주 조직을 회복하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기 때문에 섬세한 스킬이 필요하므로, 저럼한 가격이나 이벤트성 광고에 의지하기 보다 의료진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숙련도를 따져보는 것이 현명하다"고 전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