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1년 1분기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전년동기 대비 153조6000억원 증가한 1765조원으로 한은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가계빚 증가 규모도 2003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면서 전분기 대비로는 37조6000억원(2.2%) 늘어 지난해 4분기(45조5000억원) 보다는 축소됐으나 1분기 증가액 기준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에 카드사와 백화점 등의 판매신용 잔액을 더한 액수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에도 가계빚이 급증한 것은 초저금리 기조 속 집값·주가 상승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주택매매와 주식투자 등을 위해 가계가 빚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생활자금 수요가 늘어난 점도 대출 증가에 한몫했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 잔액은 1666조원으로 1년 전 보다 144조2000억원(9.5%) 늘어 2003년 통계 편제 이후 가장 큰 폭 증가했다. 전분기대비 로도 34조6000억원(2.1%) 늘어 분기 기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전년동기 대비 72조8000억(8.5%) 증가한 931조원을 기록해 2017년 1분기(75조2000억원) 증가 이후 4년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로도 20조4000억(2.2%) 늘어 2016년 4분기(24조2000억원) 증가 한 후 4년3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신용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대출은 전년동기대비 71조4000억(10.8%) 폭증한 735조로 집계돼 통계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경신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14조2000억(2%) 증가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주택 매매와 전세 거래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면서 주택 담보 대출이 꾸준히 늘었다"며 "특히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올해 1분기 생활자금 수요와 주식자금 수요가 늘면서 기타대출 증가폭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kingheart@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