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유학, 어학연수 등 코로나로 못했던 것 하고 싶어요'…

취업포털 인크루트(대표 서미영)는 대학생과 구직자, 1~2년차 사회초년생 949명을 대상으로 ‘취업을 준비하면서 코로나 상황으로 포기 또는 미뤘던 일’에 대해 설문조사했다.
먼저, 코로나 상황으로 학업, 스펙, 취업준비 등에 어려움을 느꼈는지 사회초년생을 포함한 조사참여자에게 물었다. 응답자 가운데 86.9%는 ‘어려움을 느꼈다’라고 답했다.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복수응답) 물었다. 그 결과 △코로나블루로 인한 무기력감(56.6%)이 가장 많았고 △취업정보 및 교육한계(46.9%)가 뒤를 이었다. 이어 △네트워크 형성 한계(41.4%), △자격증 및 전공공부 미흡(34.7%) 등의 이유를 덧붙였다.
그렇다면, 취업을 준비하면서 코로나 상황으로 포기 또는 미뤘던 것 중에 가장 아쉬움이 남는 점은 무엇인지 질문했다. 가장 많은 답변은 △대외활동 등 외부 활동 축소(33.0%)였고, △자격증 시험 빈도 축소(27.0%), △해외취업 및 유학 축소(18.2%), △오프라인 설명회 축소(17.3%), △근로장학생 자리 축소(1.3%) 등을 들었다.
나아가, 코로나 상황으로 불가피하게 해외취업을 비롯한 유학, 인턴 등을 준비하다가 포기하거나 연기를 결정한 경험이 있는지도 물어봤다. 응답자 중 40.4%는 포기 또는 연기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에게 포기한 이후 차선책으로 무엇을 했는지(복수응답) 추가로 들어본 결과, 과반은 △국내 취업(59.4%)을 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코로나 상황 이후 단계적 일상 회복을 뜻하는 ‘위드코로나’라는 새로운 국면 전환을 앞두고 해외취업 및 유학길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계획을 물었다. 응답자 중 42.9%는 ‘해외로 나갈 것이다’ 라고 답했다. 이를 더해 사회초년생 응답자 중 절반(50.5%) 정도는 ‘퇴사 후 해외로 나갈 의향 있다’는 뜻을 밝혔다.
추가로, 현재 소속된 회사에서 근무 중인 사회초년생들에게 ‘위드코로나’ 전환 이후 취업준비를 다시 할 의향과 계획을 물어봤다. 응답자 10명 중 9명(92.0%)은 ‘다시 취업준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취업준비를 다시 하겠다고 밝힌 이들은 △해외유학·어학연수, 공모전 등 코로나로 못했던 것들에 도전할 것(40.2%)이라는 이유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이어, △선호하는 기업이 따로 있다(33.9%) △일단 취업은 했으나 현 회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28.7%) △직무 변경 희망한다(24.5%) 등의 이유를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다시 취업준비를 희망하는 사회초년생에게 다음 회사에서 경력 아닌 중고신입으로 입사해도 괜찮은지 물은 결과, 92.6%는 ‘중고신입도 괜찮다’라고 답했다.
정연우 홍보팀장은 "요즘 사회초년생들은 코로나 시국 속에서 취업준비를 했기에 해외유학, 어학연수 등 기회적 측면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라고 말하며, "이들이 코로나 상황이 안정됐을 때 취업준비를 다시 하겠다는 근본적인 이유는 본인의 실무경쟁력과 브랜드 강화 차원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의견을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8월 30일부터 9월 2일까지 나흘간 진행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33%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