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키트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프레시지와 2위 테이스티나인 결합을 통한 밀키트 시장 석권
B2B 사업 중심의 프레시지와 B2C 사업 중심 테이스티나인 M&A로 간편식 생산 및 유통 전략 다각화
테이스티나인의 밀키트 전문점 사업 연계 간편식 오프라인 판로 확장

M&A가 진행된 테이스티나인은 프레시지와 함께 국내 간편식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다. 패션업계의 SPA 기업과 같은 식품업계의 SPF 기업으로 ▲ 상품 기획, 생산, 유통 역량 내재화 ▲ 3주 내 상품을 출시하는 기동성 ▲ 다품종 소량생산 전략을 통해 2021년에는 전년대비 102% 증가한 약 4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밀키트 시장 2위 기업으로 등극했다.
프레시지는 최근 전략적 M&A를 통한 연합전선을 구축하며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닥터키친부터 올해 허닭, 라인물류시스템에 이은 4번째 M&A로 테이스티나인의 경우 1,000억 원 규모로 진행되었다. M&A 이후에도 기존 홍주열 대표 경영 체제는 그대로 유지되며 프레시지의 공동대표로서 주요 의사결정에 함께 참여한다.
프레시지는 8,000평 규모의 ‘HMR 전문 생산 시설’에서 하루 최대 10만 개의 간편식 생산 가능한 사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파트너사들의 간편식 상품 기획, 생산, 유통, 판매 전 과정을 지원하는 ‘간편식 퍼블리싱’ B2B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테이스티나인은 메뉴군과 판매 채널별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브랜드를 직접 만들고, 브랜드 의도에 맞는 간편식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B2C 사업을 중점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테이스티나인은 각기 다른 콘셉트를 지닌 25개의 자체 브랜드를 통해 400종의 제품을 판매한다. 브랜드 제품을 중, 소규모 생산에 특화된 생산 시설인 ‘인큐베이팅 센터’에서 소량 생산하여 반응을 살피고, 인기 품목을 대량생산하는 유연한 상품 전략을 운용 중이다. 시기별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브랜드 제품 운용이 가능해 상품 교체가 잦은 편의점과, 홈쇼핑 채널에서만 전체 매출의 3분의 1 이상을 창출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프레시지는 테이스티나인의 간편식 브랜드 기획 능력과 프레시지의 생산 인프라를 결합하여 B2C 경쟁력을 강화하고, 테이스티나인의 생산시설을 활용해 소량부터 대량생산까지 모두 가능한 B2B 퍼블리싱 역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프레시지 정중교, 박재연 공동대표는 “이번 M&A는 각광받는 밀키트 시장 1,2위 기업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며, “1,2위 기업간 연합전선을 통해 간편식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진 후 식품업계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테이스티나인 홍주열 대표이사는 “해가 다르게 성장하는 간편식 시장에서 프레시지와 더 큰 비전을 함께 그려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라며, “간편식을 기반으로 한 오프라인 사업과 신사업을 통해 식품업계에 새로운 지각변동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라고 밝혔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