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지난 12월 10일부터 25일까지 진행한 ‘썸을 타는 적절한 기간’ 물음에 미혼남녀(227명, 남 115, 여 112)들은 ‘2~3주(47.6%)’를 1위로 뽑았다. ‘한 달(25.6%)’, ‘기간은 큰 의미 없다(13.2%)’, ‘두 달 이상(11%)’, ‘1주(2.6%)’ 순으로 나타났다.
12월 26일부터 1월 9일까지 시행한 또 다른 질문 ‘썸이 깨지는 신호’ 질문에는 ‘연락 텀’에 대해 가장 많이 공감했다. (미혼남녀 215명, 남 104, 여 111) ‘연락이 없어지거나 텀이 길어진다(51.6%)’, ‘말투가 변한다(24.7%)’, ‘약속 잡는 횟수가 줄어든다(15.8%)’, ‘그냥 기분상 느낄 수 있다(6.5%)’, ‘기타(1.4%)’ 순으로 이어졌다. 기타 의견은 ‘쓰던 이모티콘을 쓰지 않을 때’, ‘나만 질문하고 있을 때’ 등이 있었다.
썸을 타는 본격적인 기간은 한 달 이내여야 한다는 비율이 높고, 이보다 기간이 길어질수록 흐지부지될 확률도 높다고 봤다. 질문 항목 중 기간이 가장 긴 두 달은 20대 대비 30대의 응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결혼적령기에 가까울수록 연애까지 더 신중해진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결혼정보회사 가연 관계자는 “연락은 관심을 확인하는 기본적인 척도이며, 사소한 표현에도 상대가 받아들이는 느낌은 다르다. 만약 썸 관계에서 연락 중 대답이 점점 짧아지거나, 성의가 없게 느껴진다면, 연인 관계일 때 보다 불안한 마음이 동요되기 쉽다”라고 조언했다.
또 “서로 어느 정도 호감이 확인됐다면 관계 정립을 확실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사이가 흐지부지되는 경우는 대개 타이밍이 맞지 않아서인데, 둘 중 한 명이라도 솔직한 감정 표현을 하거나, 고백을 받고 빠른 결정을 내려야 연인으로 발전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1:1 개별 매칭 이외에도 매월 프라이빗 미팅파티 행사 등을 진행하며 미혼남녀 만남의 기회를 다양하게 마련하고 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