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화정책의 대응체계 개선, 금융혁신 및 규제완화, 공급관련 구조적 전환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는 가운데 실물경제의 금리민감도 하락으로 통화정책의 준거가 되는 실질중립금리 추정의 불확실성 증가, 고물가-고금리의 장기화 가능성 등이 유발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자본시장연구원 강현주 연구위원의 ‘미국 실물경제 금리 민감도 하락 및 시시점’ 보고서에서다.
최근(5월 26일) IMF는 2023년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7%로 상향 조정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미국의 기초경제여건에 해당하는 잠재성장률(1.8~1.9%)에 근접한 수준으로 지난해 연말 주요 예측기관들이 미국의 경기침체가 임박했다고 예상했던 것과 크게 상이한 판단이다.
당초 미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세했던 이유는 1980년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미 연준의 가파른 금리인상 때문이다. 즉,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고용이 악화되고 투자가 줄어들면서 수요가 둔화될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한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미국 금리인상의 긴축 효과가 당초 예상보다 크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봤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실물경기의 금리 민감도가 크게 둔화되었거나 통화긴축이 실물경기에 반영되는 정책시차(policy lag)가 늘어났거나 또는 금리가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강 연구위원은 “사실 코로나19 감염확산 이전에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가 지속되었음에도 수요부족에 따른 저물가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실물경기의 금리 민감도가 크게 둔화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1961년 1분기부터 1990년 4분기까지의 구간과 1991년 1분기부터 2023년 1분기까지의 구간으로 나누어 금리민감도를 추정해본 결과,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실물경제에 대한 금리 민감도가 크게 하락했다고 밝혔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