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HOME  >  금융·증권

[브랜드평판]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2023년 6월...1위

입력 2023-06-30 09:57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빅데이터 분석결과...2위 카카오페이, 3위 삼성페이 순

[브랜드평판]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2023년 6월...1위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2023년 6월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네이버페이, 2위 카카오페이, 3위 삼성페이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에서 서비스중인 20개 간편결제 브랜드평판을 알기 위해 빅데이터 평판 분석했다.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간편결제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 빅데이터 22,379,621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평판지수를 파악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간편결제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빅데이터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결제액 기준 국내 간편결제시장 규모는 2016년 11조7810억원에서 2020년 120조원을 돌파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디바이스 사업자, 네이버·카카오·NHN·SK플래닛 등 플랫폼 사업자, PG사, 신세계·롯데 등 유통사들이 페이 서비스를 하고 있다. 정부에서 주도하는 제로페이도 선보이고 있다.

페이 서비스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결제 기능이 갖는 중요성 때문이다. 일단 한 번이라도 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들은 다음번에도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높다. 특히 O2O(온&오프 연계사업) 사업 확대에 있어 페이 서비스는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간편결제와 소셜 커머스 서비스에 돈을 맡기면 은행 이자보다 큰 수익을 벌 수 있는 시대를 열기도 했다.

2023년 6월 국내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10순위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페이팔, 토스페이, 페이코, 제로페이, 알리페이 , SK페이, SSG페이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평판]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2023년 6월...1위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네이버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518,065 미디어지수 883,825 소통지수 1,383,425 커뮤니티지수 1,602,01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387,332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5,649,753과 비교해보면 22.34% 하락했다.

2위, 카카오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621,119 미디어지수 767,597 소통지수 1,841,945 커뮤니티지수 1,138,60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369,270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6,987,722와 비교해보면 37.47% 하락했다.

3위, 삼성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237,351 미디어지수 973,527 소통지수 871,679 커뮤니티지수 1,711,24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793,798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7,064,926과 비교해보면 46.30% 하락했다.

4위, 페이팔 브랜드는 참여지수 59,182 미디어지수 224,843 소통지수 795,204 커뮤니티지수 442,40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21,632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558,263과 비교해보면 2.35% 하락했다.

5위, 토스페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11,511 미디어지수 137,385 소통지수 311,003 커뮤니티지수 878,44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338,348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978,451과 비교해보면 32.35%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간편결제 브랜드평판 2023년 6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네이버페이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간편결제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5월 간편결제 브랜드 빅데이터 36,742,188개와 비교하면 39.09%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3.40% 상승, 브랜드이슈 5.56% 하락, 브랜드소통 31.58% 하락, 브랜드확산 54.92%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sglee640@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