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원물가는 양호한 소비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서비스 물가의 지속성, 비용인상 압력의 2차 파급효과 등으로 둔화 속도가 더딜 것으로 한국은행은 예상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오현희 연구위원의 ‘2023년 하반기 경제 전망: 완만한 회복 속 난기류’ 보고서에서다.
주요국 중앙은행 금리인상 사이클이 일단락되면서 시장금리와 원/달러 환율이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기준금리는 주요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따른 내외 금리차 확대 우려에도 외환시장 불안 및 급격한 자금이탈 가능성은 낮아 연내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물가를 고려하여 1~2차례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전망이나,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감안 시 금리인상 행보는 하반기 중 일단락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금리의 경우 주요국 실질 기준금리가 (+)에 진입한 가운데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선반영되면서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다.
하반기 글로벌 경제는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통화긴축 지속 여부, 국내 경제는 수출경기의 반등 시점이 회복 시기와 강도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