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는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뿐 아니라 신흥 강소 제약사인 바이킹 테라퓨틱스, 질랜드 파마가 모두 편입된 ETF다. 비만치료제로만 구성된 최초 ETF로 최근 강소 제약사들의 상승에 힘입어 상장 한달만에 14.3%의 수익을 기록했다.
최근 바이킹 테라퓨틱스가 임상중인 신약이 13주만에 체중을 14.7% 줄였다는 임상 결과 발표 후 하루에만 121% 급등했다. 해당 수치는 현재 판매 중인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를 월등히 뛰어 넘는 수치다.
이러한 시장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ETF 시장으로 이어지며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는 상장이후 개인투자자 순매수 금액이 520억원에 달하며 올해 신규 주식형 ETF 중 개인 순매수 1등을 기록했다.
올해부터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가 미국 외 지역에서도 판매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비만치료제의 열기는 글로벌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삼성자산운용의 설명이다. 골드만 삭스는 비만치료제 시장이 연평균 성장률 50%로 2030년까지 약 130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니혼게이자이그룹의 시장조사업체 퀵팩트셋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 500곳의 최근 시가총액이 지난해 말보다 7% 증가한 5조 8,000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일라이릴리의 시가총액은 작년 말보다 주가가 30%가량 상승하면서 6977억 달러로 글로벌 제약사 중 1위를 기록했고, 노보노디스크도 시가총액 5916억 달러로 지난 해말보다 30% 늘었다.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는 미국 FDA 또는 유럽 EMA에서 비만치료제를 임상 중인 기업들을 시기총액순으로 10개를 선정해 이미 매출이 유의미하게 발생 중인 노보노디스크, 일라이릴리를 각 25%, 이외 8개 종목들을 동일가중으로 6.25%씩 편입한다. 시가총액의 한계로 낮게 편입될 수밖에 없는 비만치료제 강소 제약사들이 대형제약사들의 M&A 타깃이 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동일가중 방식으로 구성한 점이 특징이다.
3월 14일 기준 지수 구성 종목은 노보노디스크 25.3%, 일라이릴리 23.4%, 바이킹 테라퓨틱스 16.0%, 질랜드 9.5% 순이다.
김천흥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비만치료제 시장이 글로벌로 확산되는 만큼 비만이 질병이라는 새로운 인식 전환의 패러다임이 확대될 것”이라며 “향후 비만치료제 ETF의 추가 수익률 상승 포인트로는 타질병으로의 적응증 확대 임상과 차세대 비만치료제 임상 결과, 마지막으로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설비 투자 확대 여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pyj0928@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