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전체 임플란트에 부담감을 느껴 틀니, 임플란트 틀니를 문의하기도 한다. 외과적 수술 부담이 커 탈착이 가능한 틀니, 부분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임플란트 틀니 등을 찾는 것이다.
틀니는 치아를 대신해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다. 탈착이 쉽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녔으나 저작 기능을 100% 회복하기 어렵다는 것이 문제다. 실제로 틀니를 착용한 채 너무 단단하거나 끈적거리는 음식, 너무 큰 음식 등을 섭취하기 어렵다. 또 장기간 틀니를 착용하면 잇몸뼈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퇴축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임플란트 틀니는 2~4개의 임플란트를 먼저 식립하고 이어 연결 장치를 활용해 틀니를 고정시키는 치료법이다. 단추를 활용하여 끼웠다 빼는 과정으로 고정 방식이 이뤄져 편리하다. 특히 기존 틀니를 보완한 치료법으로 잘 빠지지 않고 음식물을 씹기 편리하다는 장점을 지녔다. 하지만 틀니 탈착 시 발생하는 충격 때문에 임플란트가 손상될 수 있다. 또 임플란트와 틀니를 고정하는 단추를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임플란트를 꼽을 수 있다. 전체 임플란트는 위턱, 아래턱에 총 8~10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치료법이다. 무엇보다 자연 치아 기능을 90% 정도 회복해 기능적 만족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임플란트를 잇몸뼈에 직접 식립하기 때문에 틀니처럼 떨어질 일이 없다.
상기해야 할 점은 전체 임플란트 자체가 매우 난이도 높은 수술 방법이라는 것이다. 치아가 거의 없는 허허벌판인 잇몸뼈 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요소가 정말 많다. 임플란트의 위치 및 식립 각도, 간격, 교합 및 저작력 등을 충분히 파악해야 하는 만큼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 사전 정밀 검사가 중요한데, 이는 저작압이 강한 경우, 치아의 자연스러움을 더욱 부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임프란트를 식립할 수 있고,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 별도의 뼈이식 수술을 진행이 요구될 수 있는 만큼 사전 정밀 진단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김일장 노원 서울열린치과 원장(보철과 전문의)은 “전체 치아를 상실한 경우와 더불어 치아가 소수만 남아 있는 경우 전체 임플란트를 고려할 수 있는데 선천적으로 치아가 약하거나 틀니 착용 만족도가 높지 않은 케이스 역시 마찬가지”라며 “환자 본인의 잇몸뼈가 튼튼히 갖춰져야 전체 임플란트를 시행할 수 있는데 교합은 물론 심미성까지 고루 신경써야 하기에 의료진의 숙련도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