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전국 영상회의 개최, 전국 소속장 참여
선로·전차선 등 시설물 관리 강화, 작업자 온열질환 예방 철저
한문희 사장, 경부고속선 선로 현장 점검…안전 확보·지연 최소화 총력

한문희 사장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여객, 차량, 시설 등 분야별 본부장과 지역본부장 등 전국의 소속장이 영상으로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코레일은 선로와 전차선 등 폭염 민감시설물 특별 안전관리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유관기관 협력과 온열질환 예방 대책 등 신속한 폭염 대응체계를 집중 점검했다.
코레일은 지역별로 선로의 급곡선부와 통풍 불량 개소 등 폭염 취약개소를 지정해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폭염 특보 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신속 대응할 수 있는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작업자 온열질환 예방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무더위 시간대 최고 체감온도 33℃ 이상에는 실외작업을 지양하고 35℃ 이상에는 작업을 중지하는 등 작업자 안전수칙을 강화했다. 무더위 쉼터를 운영하고 보냉장구 지급, 응급조치 교육 등 직원 보호조치도 강화, 시행하고 있다.
특히, 코레일은 기후 재난에도 안전한 철도를 위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첨단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예방안전체계 구축에 힘쓰는 중이다.
여름철 선로 안전 관리를 위해서 레일온도가 48℃를 넘으면 자동으로 가동되는 ‘자동살수장치’를 고속철도 전 구간 등 전국 457곳에서 운영하며 열차 지연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 전국 308곳의 선로에는 레일온도를 미리 예측해 재해 우려개소 관리를 강화하는 시스템으로 예측가능한 사고를 막아내는 예방안전체계를 구축했다.

궤도검측차는 시속 140km로 주행하면서 레이저 측정 시스템으로 레일의 간격, 수평상태, 뒤틀림 등을 점검하는 유지보수 장비다.
코레일은 궤도검측차 이외에도, 초음파 탐상 장비로 내부 결함을 점검하는 ‘레일탐상차’와 선로와 신호시스템을 동시에 점검하는 ‘종합검측차’ 등을 활용 중이다. 점검차량이 수집한 데이터를 과거 추이와 비교 분석해 보수해야 할 곳을 미리 예측하는 디지털, AI 기반 유지보수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한문희 사장은 “올해 폭염은 기존의 대책으로는 막을 수 없는 재난 수준이라는 경각심을 갖고, 고객과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철도 현장 전반에서 과학적·선제적인 폭염 피해 예방 대책 이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코레일은 5월부터 여름철 재해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며, 폭염·기상악화 등 재난이 우려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비상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