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수출 재개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수혜 예상...엔비디아, TSMC에 H20 AI칩 30만개 주문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상무부 고위관리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수출통제를 관장하는 상무부내 산업안보국이 지난 8일 엔비디아에 수출 허가를 발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젠슨 황 CEO가 최근 백악관을 방문,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지 이틀 만에 허가 발급을 개시한 것이다. H20 AI칩 대중 수출이 재개되면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위해 성능을 낮춰 설계한 H20 칩의 수출을 금지했었다. 백악관은 H20 칩 수출 재개를 허용한 이유에 대해 중국이 자체 AI 칩을 개발해 칩 경쟁에서 미국을 추월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실제로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95%에서 4년 만에 50%로 하락했다.
또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재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H20 칩 수출 재개도 협상 카드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황 CEO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CEO로 꼽힌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여러 차례 만나면서 친분을 쌓았고, 지난 5월에는 중동 순방에 동행하기도 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H20 칩 수출을 통제하자 "수출 규제는 오히려 중국 기업만 더 강하게 만든 실패한 정책"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지난해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약 17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지만, H20 수출 통제 조치로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지난 8일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185달러에서 2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제임스 슈나이더 애널리스트는 "오는 27일 2분기 실적 발표에서 3가지가 핵심 포인트가 될 것"이라며 최신 AI 칩 블랙웰의 확산, 중국용 H20 칩 출시 일정, 총 마진 등을 꼽았다.
특히, 중국 H20 칩 출시와 관련해 "이 칩들이 얼마나 빠르게 시장에 출시되고, 향후 얼마나 많은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을지를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엔비디아는 이번 H20 수출 재개를 앞두고 대만의 TSMC에 H20 칩 30만개를 신규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 달 말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 엔비디아가 중국 내 수요 급증을 감당하기 위해 지난주 TSMC에 새로 생산 주문을 했으며, 이는 재고로 갖고 있던 제품을 판매하던 기존 방식과 다른 양상이라고 보도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