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으로 근로소득 끊기고 연금도 못받는 60~64세 '소득 크레바스', 2명 중 1명 꼴

정년퇴직으로 소득이 끊겼지만 국민연금 수령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일명 '소득 크레바스'(소득공백) 구간인 60∼64세 연령대에서는 절반 이상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통계청의 '2023년 연금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6000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90.9%였다.
이는 전년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연금 수급률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개 이상 연금을 동시에 수급한 비율은 37.7%,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전년(65만원) 대비 6.9% 오른 69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원대가 50.9%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31.1%), 100∼200만원(8.2%), 200만원 이상(5.9%), 25만원 미만(4.0%) 등 순이었다.
연금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476만명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9만2000원, 국민연금이 45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7만9000원, 미등록자는 65만7000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93.1%, 90.0%였다.

통계청은 이번 통계에서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60∼64세 연령대를 조사 세부구간으로 별도 분석했다.
이 연령대는 퇴직으로 근로소득이 끊기지만,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 개시 연령에는 도달하지 못한 이들이 포함돼있다.
2023년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0∼64세 인구는 177만3000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42.7%였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100만4000원이었다.
국민연금 및 노령연금 수급이 시작되는 63세를 기준으로 나눠서 보면, 60∼62세의 수급률은 24.8%, 63∼64세는 69.9%로 차이가 컸다.
수급 금액의 비중은 25∼50만원대(29.8%)로 가장 많았고, 50∼100만원(29.4%), 100∼200만원(15.9%), 200만원 이상(13.2%), 25만원 미만(11.8%) 등 순이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