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 의약품에 미칠 영향 주목...대형트럭 25%, 주방 및 욕실 가구 50%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관세율은 의약품 100%, 대형 트럭 25%, 주방 및 욕실 가구 50%, 소파 등 천이나 가죽이 씌워진 가구 30% 등이다.
그는 의약품과 관련, "기업이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 않다면, 2025년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복제한 의약품 중 특정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 또는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건설하고 있다'는 것은 '착공' 그리고/또는 '공사 중'을 의미한다"며 "따라서 (공장) 건설이 시작됐다면 이들 업체의 의약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제약 부문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에서 최근 각국의 거대 제약회사들은 앞다퉈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영국 제약회사 GSK는 지난 16일, 5년간 미국 내 연구개발(R&D)과 공급망 인프라에 3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고, 미국 제약회사 일라이릴리도 같은 날 미국 버지니아주에 50억달러를 들여 제조시설을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에 앞서 존슨앤드존슨은 향후 4년간 미국 내 제조, 연구 및 기술 부문에 55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고, 아스트라제네카는 2030년까지 미국에 5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부과 예고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부과 등 적절한 조치를 통해 대통령에게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부여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의약품과 중·대형 트럭 및 그 부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지난 4월 이 법 조항에 따른 조사를 개시했고, 수입 가구에 대한 조사는 지난 8월 시작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