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일레븐' 급감 불매운동 여진?
국내 주요 5개 편의점 대상 2019.1.12~4.11 vs 2020.1.12~4.11기간 12개 채널 정보량 비교
올 총정보량 세븐일레븐 20% 미니스톱 6% 감소…이마트24 43%, GS25 25% 증가와 대조

17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12일~4월12일과 2019년 1월12일~4월 12일 두 기간 동안 편의점 5개사의 빅데이터 정보량(소비자 관심도)을 조사했다.
분석대상 편의점은 '정보량' 순으로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등이다.
조사결과 최근 3개월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관심도를 보인 편의점은 GS그룹 GS리테일의 'GS25'로 올해 1월12일~4월 12일 동안 총 11만6373건을 기록,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톱을 기록했다.
BGF리테일의 'CU'가 7만5200건, 세븐일레븐 6만4737건, 이마트24 3만4782건 순이었으며 미니스톱이 2만998건으로 가장 적었다.
올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곳은 신세계그룹 ㈜이마트24의 이마트24로 43.60%(1만560건)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GS25가 25.01%(2만3280건)로 뒤를 이었다.
CU는 지난해 동기에 비해 올해 22.06%(1만3596건) 늘었다
반면 미니스톱은 올들어 소비자 관심도가 6.29%(1409건) 감소했으며 세븐일레븐은 20.0%(1만6185건) 급감했다.
미니스톱과 세븐일레븐은 공통적으로 지난해 7월 일본 아베정부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NO아베' 운동 당시 불매운동 기업 리스트에 올랐던 전력이 있다.
세븐일레븐은 1927년 미국 댈러스에서 시작한 편의점 브랜드이지만 지난 1990년 일본 기업 이토요카도가 미국 세븐일레븐의 지분 70%를 인수하면서 불매운동 대상이 됐다.
당시 세븐일레븐은 "미국 세븐일레븐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며 일본 기업설을 일축했다. 실제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의 경우 롯데지주가 지분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지만 롯데그룹 마저 한때 불매운동 대상이 되면서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했다.
한국미니스톱의 최대 주주는 일본 이온그룹이어서 불매운동 리스트에 올랐다. 대상그룹은 수출규제 직전인 지난해 5월 보유지분 20%를 이온그룹에 416억원에 매각, 결과적으로 신의 한수(?)를 뒀다는 평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