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가 국내 최초로 지속가능항공유(SAF) 전용 생산라인을 갖추고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에 나선다.SK에너지는 SAF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용 라인을 갖춘 것에 더해 안정적으로 바이오 원료를 제공할 공급업체까지 확보함에 따라 향후 급속하게 커질 SAF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SK에너지는 11일 국내 처음으로 코프로세싱(Co-Processing) 방식의 SAF 전용 생산라인을 갖추고 다음달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폐식용유, 동물성 지방 등 바이오 원료를 투입해 SAF를 비롯한 저탄소 제품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SK에너지가 이번에 갖춘 코프로세싱 방식의 SAF 전용 생산라인은 기존 석유제품 생산 공정에 석
한국언론학회(회장 박종민, 경희대 미디어학과)와 YTN(사장 김백)은 공동주최로 제1회 서울팩트체크포럼(1st Seoul Fact-Check Forum)을 오늘 9월 25일(수) 오후 2시부터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개최한다. 대주제는 세계언론의 팩트체크 현황 및 전망(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Fact-Checking in Global Media)이다. 팩트체크는 현대 저널리즘에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허위정보와 가짜뉴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디지털플랫폼과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잘못된 정보가 빠르게 퍼질 수 있는 환경에서, 팩트체크는 언론이 사실에 기반한 공정한 보도를 하도록 도우며, 이를 통해 언론의 신
국내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기업 유베이스 그룹(대표이사 권상철)이 SK텔레콤의 AICC(AI Contact Center) 파트너로 선정, 핵심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유베이스 그룹은 26년간의 컨택센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AICC 기술을 SK텔레콤과 협력하여 양사의 기술을 융합, 고도화된 AICC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이 2024년 3월에 출시한 올인원 구독형 AICC 솔루션, SKT AI CCaaS (Contact Center as a Service)는 콜 인프라, 상담 앱, AI 솔루션, 전용회선, 상담인력, 시스템 운영대행 등 AICC 운영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이 서비스는 별도의 인프라 구축 비용 없이 저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AI 웹툰제작 솔루션 기업 (주)크림(대표 김지성)은 신용보증기금이 주관하는 '스타트업 네스트(Start-up NEST)' 프로그램 16기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스타트업 네스트’는 신용보증기금이 운용하는 창업 3년 이내 초기기업(스타트업) 육성 제도로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성장 분야를 영위하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멘토링, 네트워킹 등을 제공하는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이다. 이에 크림이 최종 선정되어 △맞춤형 신용보증 △보증 연계 투자 △성장 단계별 해외 진출 프로그램 △민간 투자 유치 △광고·마케팅 등의 지원을 받게 됐다. 크림은 크림만의 독보적인 AI 기술로 단
LG전자는 ‘이동형 AI홈 허브’가 6일부터 10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4에서 해외 유력 매체들로부터 잇따라 최고 제품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LG 이동형 AI홈 허브는 LG전자의 AI 에이전트 ‘퓨론’을 탑재, 두 다리에 달린 바퀴와 자율 주행 기술로 움직인다. 음성·음향·이미지 인식을 접목한 멀티모달 센싱 능력도 갖췄다. 수면·학습 등 아이의 생활 루틴에 맞게 조도 등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책을 읽어주거나 이야기를 창작해 들려주는 등 아이의 정서까지 고려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LG전자의 이동형 AI홈 허브에 대해 영국의 테크레이더는 “개성이 넘치고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게
2024년 9월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SDS, 2위 카페24, 3위 포스코DX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8월 11일부터 9월 11일까지의 IT서비스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6,646,762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미용의료기기 전문업체 하이로닉이 아르헨티나 국립 의약품, 의약품 식품 및 의료기술청(ANMAT)으로부터 NEW DOUBLO 2.0에 대하여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하이로닉의 올해 남미 시장 인증 취득 현황은 페루 SILKRO, 브라질 PLASONIC, NEW DOUBLO 2.0, SILKRO에 이어 이번이 다섯 번째이다. 하이로닉 관계자는 주력 제품에 대한 연이은 남미 시장 인증 취득을 통해 남미 시장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17개 홈쇼핑 채널의 방송과 상품을 한데 모아 쇼핑 정보와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U+tv 전용 쇼핑 플랫폼 ‘한눈에쇼핑’을 개편하며 편의성을 대폭 강화했다고 5일 밝혔다.LG유플러스는 2021년 말 ‘한눈에쇼핑’를 출시한 이후 고객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지속 개선, 8월 말 기준 누적 이용자 수 300만명을 기록했다. 전체 U+tv 가입자의 60%에 해당하는 수치다. 방송 시청시간도 꾸준히 늘어 월 기준 37만 시간, 누적 440만 시간을 달성했다.한눈에쇼핑에서 방송 시청 후 홈쇼핑사 모바일 판매 사이트로 접속해 실제 구매까지 하는 고객의 비율은 최대 29%에 달했다. 고객이 시청하다가 관심이 있어 홈쇼핑사 모바일 판매 사이트로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지난 8일 1조3086억 규모의 부산 괴정5구역 재개발사업을 수주했다고 10일 밝혔다.부산 괴정5구역 재개발정비조합은 8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하고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단독 입찰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 최종 시공사로 선정했다.괴정5구역 재개발사업은 부산 사하구 괴정동 일원에 지하 3층 ~ 지상 39층, 19개동 규모로 공동주택 3102가구와 오피스텔 144실, 부대복리시설을 신축하는 사업이다.해당 사업지는 부산지하철 1호선 사하역과 인접한 역세권 위치해 교통 접근성과 함께 사하초‧사하중학교 등과도 인접해 교육환경을 갖췄다.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괴정5구역 재개발사업의 단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9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나흘간 열리는 북미 최대 에너지 전시회인 ‘RE+(Renewable Energy Plus) 2024’에 참가했다고 밝혔다.‘Accelerate America’s Energy Transition(미국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다)’라는 주제로 이번 전시에 참가한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장 내 주요 고객들을 대상으로 최신 ESS 제품 및 기술력을 선뵀다.특히 올해는 전시장 중앙에 고용량 LFP 롱셀 ‘JF2 셀’이 적용된 컨테이너형 모듈 제품 ‘New Modularized Solutions(JF2 AC/DC LINK 5.1)’의 실제 제품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2025년부터 미국 현지에서 생산 예정인 이 제품은 전력변환
친환경 멤브레인 독일 기업 심파텍스가 2030년까지 원자재부터 완제품까지 모든 제품에 100% 리사이클이 가능한 ‘재순환 사이클(closing the loop)’을 달성하겠다는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2020년부터 재활용 섬유 소재로 만든 원단을 모든 사업 분야에 제공해 온 심파텍스는 2025년에는 기능성 라미네이트 원자재의 50%를 재순환된 재료로 사용하고, 오는 2030년에는 100% 리사이클된 원자재로 생산된 제품만 공급하겠다는 지속가능한 ‘폐기물 재순환’ 의지를 밝혔다. 심파텍스는 “버려지는 페트병으로 섬유의 재순환을 추진하면서 32개의 페트병(500ml)으로 기능성 재킷4.0 한 벌을 만들 수 있다”고 밝히고
에듀테크 기업 에누마가 ‘특수교사 미래교육 연구회 SeeD(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dutech and Digital education, 이하 SeeD)’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 7일 진행된 협약식에는 에누마코리아 전유택 대표와 SeeD 대표교사 안지훈 회장 등이 참석했다. 또한, 약 35명의 SeeD 소속 교사들과 에누마 직원들도 참여해 신규 프로젝트 등에 대해 논의하는 네트워킹 시간도 이어졌다.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에누마와 SeeD는 맞춤형 디지털 특수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구 및 지속가능한 디지털 특수교육 모델 구축 등 다방면에 걸쳐 협력한다.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사례 발굴의 일환으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은 다가오는 10월 11일 (금)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 3회 폐플래스틱 리싸이클링 정책 및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개최되는 폐플래스틱 리싸이클링 정책 및 기술 세미나는 ‘폐플래스틱 재활용 정책 현황과 수출입 거래 동향 및 시장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폐플래스틱 원료 공급 내수화 전략과 기업별 폐플래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세미나에서 다뤄지는 주요 의제는 ▷ 플래스틱 재활용 국내 정책 현황 ▷ 폐플래스틱 무역정책 및 거래동향과 시장 현황 ▷ 폐플래스틱 수거 ∙ 전처리 공정과 피드스탁 공급 및 재생 폴리머 생산